현대상선 컨테이너선. 사진=현대상선 제공
현대상선 컨테이너선. 사진=현대상선 제공
현대상선은 오는 7일부터 아시아~중동항로 서비스를 2개 노선으로 확대하고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4일 밝혔다.

현대상선은 그동안 KMS(Korea Middle East Service) 노선 1개만 운영했다. 그러나 올해 1월부터 이란 경제제재가 해제되면서 물동량 증가가 예상되자 한국발 중동향 서비스(KME)와 중국발 중동향 서비스(CME)로 이원화해 확대 개편했다.

회사 측은 "지난달 29일 중동지역 주요 대리점 관계자를 초청해 업무 협업을 마쳤다"며 "이를 통해 현대상선은 아시아~중동항로 시장점유율을 기존 8%에서 13%로 확대하면서 1위로 올라설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KMS를 개편한 KME(Korea Middle East Express)서비스는 8600TEU급 컨테이너선 3척과 6800TEU급 컨테이너선 3척 등 총 6척을 투입한다. 기존 서비스 보다 운항 일수가 약 2일 정도 단축되면서 중동향의 빠른 서비스가 가능해 졌다.

서비스 노선은 광양–부산–닝보–얀티안(중국)–홍콩–싱가폴–포트켈랑(말레이시아)–제벨알리(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아랍에미리트)–반다르아바스(이란)–카라치(파키스탄)–싱가폴-홍콩이며, 서비스 개시일은 이달 7일이다.

추가로 개설되는 CME(China Middle East Express) 신규 항로는 46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을 투입한다. 특히, 상해~담맘까지의 운항 일수가 약 18일 소요되면서, 타선사 대비 약 2~3일 서비스 시간이 단축됐다.

서비스 노선은 청도–상해–샤먼(중국)-카오슝(대만)––셔코우(중국)–제벨알리(아랍에미리트)–담맘(사우디아라비아)–반다르아바스(이란)–싱가폴-홍콩이며, 서비스 개시일은 오는 18일이다. 또한 CME 신규 항로는 기존에 없던 청도 샤먼 셔코우 담맘을 신규로 추가 기항했다.

중동의 주요항인 반다르아바스(이란)와 제벨알리(두바이)는 기존 주 1회 서비스에서 주 2회 기항 서비스로 중동 지역 내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김근희 한경닷컴 기자 tkfcka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