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가축을 길들이면서 가장 큰 공생관계의 전환점은 약 1만년 전 서아시아에서 시작된 '우유'일 것이다. 우유의 이용 이전에 가축사육의 목적이 고기였다면, 착유의 기술이 발명된 이후부터는 우유 생산에 중점을 뒀다. 이처럼 목축을 시작하며 인류는 우유라는 식료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해 인류의 생활권을 확대했고, 그 이후에는 우유를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치즈, 버터 등 유제품의 활용을 개발했다. 우유와 유제품은 인류의 인구증가, 수명연장에 크게 기여한 귀한 식품임에 틀림없다.

현대의 식품, 영양학, 의학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도 우유의 긍정적인 효능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다. 반면 소비자들은 일부 전문가들의 왜곡된 주장들 때문에 우유의 효능에 대해 의구심을 갖기도 한다. 이러한 잘못된 주장들 중에서 그 정도가 심하거나 과학적인 근거가 전혀 없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자.
“국산 우유에 항생제는 있을 수 없는 일”

국산 우유에 항생제가 들어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1990년대를 아직까지 살고 있는 사람들인 듯 하다.

우유의 항생제가 의심이 불거진 것은 꽤 오래 전 일이다. 1992년 미국에서 성장호르몬을 주입 받은 소의 안정성이 미의회와 식품의약국(FDA)에서 이슈가 된 이후, 1995년 이를 본 국내 한 신생 유업체가 경쟁사의 우유에 항생물질이 있다고 광고하면서 국내에서도 큰 사회적 문제가 되며, 항생제에 대한 불안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는 벌써 20년이 훌쩍 지난 먼 얘기들이다. 우유는 젖소의 사육과정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굉장히 까다로운 품질관리를 단계별로 진행한다. 총 7단계의 이들 검사는, 계량·수유검사, 청정, 저유, 균질화, 가열살균·냉각, 충진, 제품 검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계마다 수많은 항목을 검사하여 항생제나 호르몬이 포함된 우유가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한 예로 첫 번째 단계인 수유 검사에서는 우유의 원료로서 사용가능한지를 140여개 항목에 대해 검사하여,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원유는 단 한 방울도 공장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폐기 처분한다. 또한 농가들도 경제적인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서 더욱 철저히 관리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이미 2011년도부터 배합사료에서의 항생제 사용도 전면 금지한 상태이며, 2013년부터는 ‘동물약품 수의사 처방제’가 실시되어 오·남용 우려가 있는 동물용 의약품은 반드시 수의사 처방전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경상대학교 축산학과 주선태 교수는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서 “우유는 여러 검사 단계를 거쳐 유해 요소가 기준치 이상으로 들어있을 경우 유통·판매될 수 없다”며 “성장호르몬 역시 우유에 들어있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모유는 IQ(지능지수)와 아무 관계없어”

인간이 아이를 키우며 모유 수유를 하는 것은 가장 자연스럽고 이상적인 방법일 것이다. 하지만, 갖가지 이유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일정 기간 뒤부터는 분유로 아이를 키우는 경우가 많다. 일부 모유 수유자들은 모유로 자녀를 키울 경우 자녀의 IQ가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는 경우도 있다. 2015년 미국 학술지 플로스원에 실린 영국 런던대학과 골드스미드 대학의 공동 연구에서는 모유는 아이의 IQ와 연관성이 없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1994년~1996년 사이에 태어난 어린이 11,582명을 대상으로 모유 수유와 지능지수 발달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들 중 3분의 2는 평균 4개월가량 모유수유를 하였으며, 나머지는 모유수유를 하지 않았다.

24개월 전후로 진행된 연구결과에서 모유를 먹은 여자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여자 어린이와의 차이는 과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더군다나 남자 어린이들에게서는 어떠한 연관성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오히려 연구팀은 “모유수유 외의 다른 여러 가지 이유가 자녀의 IQ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유수유는 아이의 면역체게 발달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조언했다.

우유에 대한 왜곡된 내용들이 모두 사실이라면, 아마 지금과 같은 인류의 발전은 더 늦춰졌을 것이며 마트의 진열대에서는 우유가 사라졌었을 것이다. 한국인에게 우유섭취를 더 권장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런 왜곡된 주장들로 소비자가 혼란스러워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할 것이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