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총기사고로 테러 표적 우려
핵심인사 불참 자리에 연예인 채워
기부금 없어 선거비용 적자 허덕
방위비 분담 등 외교정책 주목
전당대회는 본선을 알리는 신호탄이어서 흥행이 필수라고 미국 선거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첫째날에는 공화당의 한반도정책을 담은 정강이 채택돼 발표된다. 이번 전당대회가 흥행할지는 트럼프에게 달렸다.
◆총기사고 우려 커
공화당 전당대회 행사에는 50개주와 6개 자치지역 및 특별행정구역에서 온 총 2470명의 대의원과 2302명의 예비대의원, 1만5000여명의 각국 기자가 참석한다. 이들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인력과 당원까지 합하면 나흘간 총 5만명이 운집한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안전이다. 이번 전당대회를 앞두고 올랜도와 댈러스 등에서 잇따라 총기 테러가 발생했다. 미국 차기 대통령 후보를 뽑는 전당대회는 테러 조직의 좋은 표적이 될 수 있다.
더구나 오하이오주는 자유로운 총기 소지를 허용한다. 행사장 주변에서 계획적이거나 돌발적인 총격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 언론은 “3000명의 경찰이 행사에 투입되지만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보도했다.
◆‘반쪽 축제’ 가능성도
전당대회는 당의 가장 큰 축제다. 이번 행사가 축제 분위기 속에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우선 공화당 간판 정치인이 대거 불참해 ‘반쪽 축제’가 될 가능성이 커졌다.
공화당 출신 대통령인 조지 부시 전 대통령 부자를 비롯해 2012년 대선 후보인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 2008년 후보인 존 매케인 상원의원이 모두 불참을 선언했다. 16명의 경선 경쟁자 중에서도 벤 카슨과 크리스 크리스티 뉴저지 주지사,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 정도만 참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거물 정치인들이 빠진 자리는 가족과 연예인·기업인·운동선수 등으로 메워진다. 트럼프의 장녀 이방카 트럼프는 “이번 전당대회는 아주 다를 것”이라며 “정치인을 줄 세운 지루한 행사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목되는 한반도 정책
트럼프는 경선 기간 내내 한국 등 동맹국의 방위비 분담 확대를 요구해왔다. 집권 시 한국이 분담액을 늘리지 않으면 주한미군 철수 등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그의 한반도 정책이 행사 첫날 채택될 정강(집권 후 펼칠 정책의 청사진)에 그대로 반영될지 주목된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한반도 정책을 놓고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2012년 채택한 정강은 “미국이 한국 일본 등 아시아 동맹국과 강력히 연대해 북핵 문제 및 중국 부상 등에 대응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방위비 분담은 언급하지 않았다.
◆기부금 적어 적자 걱정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는 공화당이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자금 중 600만달러를 마련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주최 측인 공화당 전국위원회(RNC)는 지난 주말 카지노·호텔업계 거물인 셀던 아델슨 라스베이거스샌즈 코퍼레이션 회장에게 600만달러 기부를 긴급요청하는 서신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박수진 특파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