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영화를 촬영하고 부산을 상징하는 지명 등을 영화 제목으로 개봉한 영화들이 잇따라 성공하면서 ‘부산 영화=흥행 대박’이라는 공식이 만들어지고 있다.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에서 영화 ‘부산행’을 촬영하는 모습.
관객 수 1000만명을 넘긴 ‘국제시장’과 ‘해운대’에 이어 최근 개봉한 ‘부산행’까지 1000만명 돌파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연일 흥행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부산행’은 지난 24일 개봉 닷새 만에 531만5567명을 모았다.
‘부산행’은 23일 하루 관객 수 128만950명으로 역대 하루 최다 관객 동원 기록을 세웠다. 개봉 4일 만에 역대 최단 기간 400만 관객도 모았다. 24일 5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최단 기간 500만 관객 기록도 썼다. ‘부산행’의 23일 하루 관객 수는 1761만명을 동원한 역대 최고 흥행작인 ‘명량’이 2014년 8월3일 세운 125만7380명을 넘는 수치다. 일일 박스오피스 기록 중 120만명 이상 관객을 동원한 작품은 ‘부산행’과 ‘명량’ 두 편뿐이다.
‘부산행’은 부산영상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부산에서 상당 부분을 촬영했다. 영화에서 촬영 분량이 가장 많은 KTX 객차 내부는 부산영상위 내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 세트에서 찍었다. 2량 이상의 객차 및 연결부 세트 제작을 위해선 45~50m 길이의 실내 세트장이 필요한데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부산진구 범천동 철도차량정비창과 부전역에서도 로케이션 촬영이 이뤄졌다. 부산영상위는 제작진을 위한 숙소를 지원하기도 했다.
그동안 부산을 배경으로 찍은 영화나 부산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한 영화의 흥행 성적은 눈에 띄게 좋다. 1000만 관객을 돌파한 한국 영화 13편 중 ‘국제시장’ ‘해운대’ ‘베테랑’ ‘도둑들’ ‘암살’ ‘변호인’ 등 6편이 부산영상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부산에서 촬영했다. 이 중 1426만 관객을 달성하며 역대 한국영화 흥행 2위를 기록한 ‘국제시장’과 1132만 관객이 본 ‘해운대’는 부산을 배경으로 촬영하고 부산의 유명 지역을 영화 제목으로 활용했다.
부산영상위 관계자는 “산과 강, 바다를 끼고 있는 부산은 철도 항공 해운 등 물류시설이 잘 갖춰진 데다 부산국제영화제의 명성과 함께 제작진 숙소까지 지원해 ‘영화 찍기’에 좋은 환경”이라며 “부산의 상징을 영화 제목으로 정하거나 부산에서 영화를 찍으면 성공한다는 얘기가 영화계에서 회자된다”고 말했다.
미국의 힙합 스타 카녜이 웨스트가 소셜미디어(SNS)에 반유대주의·혐오 발언을 도배하다시피 올렸다.7일(현지시간) 웨스트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는 그가 전날 밤부터 이날 오전까지 욕설과 비속어를 섞어 올린 수십 개의 글이 게시돼 있다. 이 중에는 "나는 나치다", "나는 히틀러를 사랑한다" 등 극단적인 발언이 다수 포함됐다.그는 또 "나는 내 유대인 관련 발언에 대해 절대 사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나는 영원히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다. 내 계정을 정지시킨 것에 대한 내 빌어먹을 사과는 어디에 있나"라고 썼다.그는 또 유대인들을 향해 "나를 더 이상 몰아붙이지 말라"며 "내 가장 친한 친구 중 일부는 유대인이고, 나는 그들 중 누구도 믿지 않는다"고 썼다. 이어 "나는 반유대주의가 무슨 뜻인지조차 모른다. 그것은 단지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헛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헛소리일 뿐"이라고 했다.또 다른 게시물에서는 "나는 인종주의자다.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고, 모두 사실이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그는 공개적인 자리에서 지나친 신체 노출로 구설에 오른 모델 출신 아내 비앙카 센소리에 대한 글도 여러 개 올리면서 "나는 아내를 지배하고 있다. 이건 페미니스트가 하는 짓이 아니다"라고 했다.한편 음반 프로듀서로 시작해 자신의 앨범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한때 팝 무대의 간판스타로 자리 잡았던 웨스트는 2020년께부터 유대인 혐오와 나치즘을 찬양하는 발언 등으로 여러 차례 논란을 일으켰다. 웨스트는 지난 5일 공개된 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는 자신의 정신적인
약 10년 동안 온갖 구실로 무려 14억여원을 뜯어 가정을 파탄 내고 기초생활수급자로 전락시킨 40대가 또 다른 피해자들을 상대로 수억원대 사기행각을 벌였다.춘천지법 형사1단독 신동일 판사는 사기 혐의로 기소된 A(45)씨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다고 8일 밝혔다.A씨는 피해자 2명으로부터 각각 2억5000여만원과 3600여만원을 뜯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조사 결과 A씨는 2020년 8월 경남 창원시 한 회식 자리에서 알게 된 B씨에게 "나는 대학교수이고, 남편은 검사로 재직 중이다. 아버지는 대기업 대표 출신이다"라고 속였다.그는 자신이 로스쿨을 졸업해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뒤 법원 재판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라는 거짓말까지 섞어 "부동산을 사야 하는데 잠시 돈을 빌려주면 10일 안에 이자를 10% 이상 붙여서 갚겠다"고 속여 1년간 2억5000여만원을 뜯었다.다른 피해자 C씨에게는 2022년 8월께 지인을 통해 건물주 행세를 하며 명의 변경에 돈이 필요하다는 구실로 3600여만원을 가로챘다.A씨는 2011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D(69)씨에게서 총 831회에 걸쳐 14억2500여만원을 뜯은 혐의로 지난해 5월 징역 9년의 확정판결을 받기도 했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