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초대형 투자은행 육성방안은 장기적으로 자기자본 10조 원의 글로벌 증권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증권사들은 인수합병과 덩치 키우기 등 대대적인 업계 재편에 나설 전망입니다.김종학 기자입니다.<기자>초대형 투자은행 기준인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증권사는 현재 5곳입니다.이 가운데 자기자본 4조 원을 초과한 대형 증권사는 합병을 앞둔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2곳에 불과합니다.KB투자증권과 현대증권이 합병 후 자기자본 3조 8천억 원으로 4조 원대 진입이 가능하고,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3조 원대 초반입니다.이에 따라 대형 증권사들은 3강 2중 체계로 재편해, 중소형 증권사들과 격차를 더 벌리게 됐습니다.증권업계에서는 각종 수수료 경쟁으로 수익이 악화된 국내 시장에서 기업 자금조달 업무를 확대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걸로 기대했습니다.<인터뷰> 김원규 NH투자증권 대표이사"우리나라에서 수수료 기반의 영업은 한계에 왔습니다. 그래서 (증권사들이) 자기자본을 대형화해서 자기자본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갔다는 거죠"<스탠딩> 김종학 기자"이번 초대형 투자은행 육성방안은 대형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인수합병과 증자 등 대대적인 몸집 불리기를 예고했습니다"신한금융투자가 지난달 5천억 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한 데 이어, 합병 KB증권도 증자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현재 매각을 추진하는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하면 자기자본 7천억 원을 더해 4조 원 대 증권사로 올라설 수 있습니다.미래에셋증권은 합병 후 6조 7천억 원인 자기자본에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 매각 등을 통해 8조 원대까지 규모를 키울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인터뷰>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향후 증권사들이 지속적으로 자본확충을 하도록 그런 인센티브를 가져가도록 하려는 의도다. 단기적으로 자본확충이나 M&A를 하지 않는다보다 이것이 장기간에 걸쳐 증권사들에게 (대형화) 인센티브로 작용하지 않겠나"메리츠종금증권, 키움증권 등 브로커리지, 부동산 등에 특화된 증권사가 아닌 곳들은 생존경쟁에 내몰릴 수 밖에 없게 됐습니다.자본시장의 성장과 경쟁력 확보에 대한 정부와 업계의 공감대 속에 증권사들은 대형화, 전문화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한국경제TV 김종학입니다.김종학기자 jhkim@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강수정 ‘지금 대박 난리’...5년 만에 방송 복귀 “입담으로 역대급”ㆍ갤럭시노트7 공개, 3중 보안·S펜·HDR 스트리밍 ‘스펙빵빵’…가격은?ㆍ소녀시대 ‘가요계의 명물’...그 여름 0805 “다들 들으면 놀라”ㆍ정용화 이연희 ‘세련미 극찬’...“이들 대체 뭐야? 세상에 깜짝아”ㆍ‘택시’ 신다은♥임성빈 신혼집 공개, 아기자기 펜트하우스 ‘4평의 기적’ⓒ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