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과장님이 아니고 파트장으로 불러주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견기업에도 거세지는 ‘직급파괴'바람
아주그룹·쿠첸·동양매직도 가세
아주그룹·쿠첸·동양매직도 가세
과장, 차장 등 직급을 깨는 이른바 ‘직급파괴’가 중견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경직된 조직문화를 보다 유연하게 바꾸기 위한 노력이다.
이대희 쿠첸 사장(사진)은 4일 “기존 13단계였던 직급을 5단계로 축소해 최근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쿠첸은 작년까지 사원부터 주임, 대리, 과장 등 일반적 직급체계를 써왔다. 하지만 올해 바뀐 인사체계에선 파트너-파트장-팀장-부문장-비즈니스 유닛장 등으로 단순해졌다. 부장급 이하 일반 직원뿐 아니라 이사, 상무, 부사장 등 임원급도 여기에 포함시켰다. 이 사장은 “인사 시스템을 바꾸면서 직원 평균 연봉을 11.2% 올려줬다”며 “직급이 낮은 직원들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고 설명했다. 쿠첸은 ‘2단계 인사혁신’으로 직급에 관계 없이 프로젝트 매니저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예컨대 입사 2년차 사원이 팀장을 맡아 부장급 직원을 팀원으로 쓸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동양매직 또한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 등 5개 직급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사원-책임-수석 등으로 단순화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3~6월 외부에서 인사 컨설팅을 받았다. 회사가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어서 시행은 일단 보류된 상태다. 앞서 2013년 아주그룹은 중견기업으론 드물게 대리부터 부장까지 직급을 없애고 매니저로 통일한 바 있다.
중견기업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조직문화에 활력을 불어넣게 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대기업보다 덩치가 훨씬 작지만 그렇다고 민첩하게 움직이지도 못했다는 ‘반성’에서 비롯됐다. 대규모 제조라인을 보유하고 있거나 모기업의 영향을 많이 받아 관료화 된 탓이다. 이 사장은 “매출 1조원을 넘기 전에 인사체계를 고치지 않으면 영영 못고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인사 적체도 한 원인이다. 사원, 대리 등에 비해 차·부장급이 많은 ‘항아리형’ 구조가 고착화 된 중견기업이 많아 어떤 식으로든 이를 해소할 필요가 있었다는 얘기다.
기업이 인건비를 줄이려는 의도로 해석하기도 한다. 직급이 단순해지면 사원에서 대리로, 과장으로 승진할 때마다 껑충 뛰는 연봉을 낮출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부장 이상 간부는 올라갈 자리가 없어 점점 입지가 좁아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이대희 쿠첸 사장(사진)은 4일 “기존 13단계였던 직급을 5단계로 축소해 최근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쿠첸은 작년까지 사원부터 주임, 대리, 과장 등 일반적 직급체계를 써왔다. 하지만 올해 바뀐 인사체계에선 파트너-파트장-팀장-부문장-비즈니스 유닛장 등으로 단순해졌다. 부장급 이하 일반 직원뿐 아니라 이사, 상무, 부사장 등 임원급도 여기에 포함시켰다. 이 사장은 “인사 시스템을 바꾸면서 직원 평균 연봉을 11.2% 올려줬다”며 “직급이 낮은 직원들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고 설명했다. 쿠첸은 ‘2단계 인사혁신’으로 직급에 관계 없이 프로젝트 매니저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예컨대 입사 2년차 사원이 팀장을 맡아 부장급 직원을 팀원으로 쓸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동양매직 또한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 등 5개 직급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사원-책임-수석 등으로 단순화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3~6월 외부에서 인사 컨설팅을 받았다. 회사가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어서 시행은 일단 보류된 상태다. 앞서 2013년 아주그룹은 중견기업으론 드물게 대리부터 부장까지 직급을 없애고 매니저로 통일한 바 있다.
중견기업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조직문화에 활력을 불어넣게 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대기업보다 덩치가 훨씬 작지만 그렇다고 민첩하게 움직이지도 못했다는 ‘반성’에서 비롯됐다. 대규모 제조라인을 보유하고 있거나 모기업의 영향을 많이 받아 관료화 된 탓이다. 이 사장은 “매출 1조원을 넘기 전에 인사체계를 고치지 않으면 영영 못고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인사 적체도 한 원인이다. 사원, 대리 등에 비해 차·부장급이 많은 ‘항아리형’ 구조가 고착화 된 중견기업이 많아 어떤 식으로든 이를 해소할 필요가 있었다는 얘기다.
기업이 인건비를 줄이려는 의도로 해석하기도 한다. 직급이 단순해지면 사원에서 대리로, 과장으로 승진할 때마다 껑충 뛰는 연봉을 낮출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부장 이상 간부는 올라갈 자리가 없어 점점 입지가 좁아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