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사드 이후 중국 투자유치 첫 중단…엔터테인먼트 업계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기관, 일방적 협상 중단 통보
▶마켓인사이트 8월4일 오후 4시11분
사드(THAAD·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때문에 중국 자본 투자유치가 중단되는 첫 사례가 나왔다. 중국 정부가 한류 콘텐츠 제재 방침을 정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중국 기관들의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풀이된다.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엔터테인먼트 코스닥 상장회사인 A사는 최근 투자유치를 논의하던 중국 기관으로부터 협상 중단 통보를 받았다. 한국의 사드 배치를 이유로 중국 국가신문출판방송위원회(광전총국)가 이달 초 각 방송국에 한국 아이돌 출연 금지 및 한류 콘텐츠 제작·방영 제한 등의 제재 방침을 전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였다.
중국 당국의 공식 발표가 아니어서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지만 현장의 반응은 달랐다. 이 회사는 중국계 유명 재무적 투자자(FI) 등으로부터 최대 1000억원의 자금을 유상증자를 통해 끌어올 계획이었지만 회의가 무기한 연기됐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의 투자유치를 발판으로 중국 내 사업 기반이 넓어질 것으로 보고 적극 협상하던 거래였다”며 “중국의 제재 방침이 사실로 확인되면 거래가 완전히 무산될지도 모르겠다”고 전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 기관의 한국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중국으로부터 투자유치를 이미 받았거나 준비하고 있는 기업에도 ‘불똥’이 튀지 않을까 업계에서는 우려하고 있다.
엔터 및 콘텐츠 업계에서는 YG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SM엔터테인먼트, FNC엔터테인먼트, 화이브라더스, NEW, 씨그널엔터테인먼트, 초록뱀미디어, 소리바다, 이매진아시아(옛 웰메이드예당), 키이스트 등이 중국 기업의 투자를 받았다.
한 엔터테인먼트 업체 관계자는 “엔터 업체들이 중국으로부터 투자자금을 유치받는 것은 중국 기관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소속 연예인의 중국 진출 또는 콘텐츠 수출까지 하려는 시도”라며 “중국의 ‘보복’이 현실화하면 중국 기관으로서도 투자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당분간 투자를 꺼리거나 국내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사드(THAAD·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때문에 중국 자본 투자유치가 중단되는 첫 사례가 나왔다. 중국 정부가 한류 콘텐츠 제재 방침을 정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중국 기관들의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풀이된다.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엔터테인먼트 코스닥 상장회사인 A사는 최근 투자유치를 논의하던 중국 기관으로부터 협상 중단 통보를 받았다. 한국의 사드 배치를 이유로 중국 국가신문출판방송위원회(광전총국)가 이달 초 각 방송국에 한국 아이돌 출연 금지 및 한류 콘텐츠 제작·방영 제한 등의 제재 방침을 전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였다.
중국 당국의 공식 발표가 아니어서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지만 현장의 반응은 달랐다. 이 회사는 중국계 유명 재무적 투자자(FI) 등으로부터 최대 1000억원의 자금을 유상증자를 통해 끌어올 계획이었지만 회의가 무기한 연기됐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의 투자유치를 발판으로 중국 내 사업 기반이 넓어질 것으로 보고 적극 협상하던 거래였다”며 “중국의 제재 방침이 사실로 확인되면 거래가 완전히 무산될지도 모르겠다”고 전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 기관의 한국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중국으로부터 투자유치를 이미 받았거나 준비하고 있는 기업에도 ‘불똥’이 튀지 않을까 업계에서는 우려하고 있다.
엔터 및 콘텐츠 업계에서는 YG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SM엔터테인먼트, FNC엔터테인먼트, 화이브라더스, NEW, 씨그널엔터테인먼트, 초록뱀미디어, 소리바다, 이매진아시아(옛 웰메이드예당), 키이스트 등이 중국 기업의 투자를 받았다.
한 엔터테인먼트 업체 관계자는 “엔터 업체들이 중국으로부터 투자자금을 유치받는 것은 중국 기관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소속 연예인의 중국 진출 또는 콘텐츠 수출까지 하려는 시도”라며 “중국의 ‘보복’이 현실화하면 중국 기관으로서도 투자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당분간 투자를 꺼리거나 국내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