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 경제가 성공한다
소중한 체험 할 수 있다면 가격 몇 배 비싸도 지갑 열어
패션·식음료 이어 전자업계도 도입
프랑스의 수영복 브랜드 빌레브레퀸은 한 벌 가격이 최소 30만원이 넘는다. 최고 900만원에 이르기도 한다.
빌레브레퀸이 파는 것은 단순한 수영복이 아니다. ‘체험’이다. 빌레브레퀸 광고에는 항상 같은 수영복을 입은 아빠와 아들이 등장한다. ‘커플 수영복’을 입은 어린 아들과 손잡고 아름다운 해변을 바라보는 것은 모든 아빠들의 로망이다. 빌레브레퀸의 ‘아빠와 아들(father and son)’ 라인이 불티나게 팔리는 이유다.
빌레브레퀸은 ‘체험 경제’의 대표적 성공사례다. 체험경제는 경영학자 조지프 파인 등이 1998년 《체험의 경제학(the experience economy)》이라는 책을 통해 제안한 개념이다. 많은 소비자가 신혼여행 등 소중한 체험을 위해서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는 데서 착안했다. 제품이 아니라 체험을 팔면 훨씬 비싸게 팔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과거엔 주로 패션, 식음료 업계에 이 같은 마케팅이 많이 적용됐다. 최근엔 하드웨어를 파는 전자업계에서도 ‘체험 경제’ 바람이 불고 있다.
◆차가운 바람 아닌 ‘자연의 시원함’
삼성전자의 ‘무풍 에어컨’이 대표적이다. 과거 에어컨은 시원한 바람을 강하게 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하지만 삼성의 무풍 에어컨은 ‘동굴 안에 있는 것 같은 시원함’을 준다고 소비자를 설득한다. 에어컨의 차가운 바람을 직접 맞는 것과는 다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찌는 듯한 여름날 동굴에 들어간 것처럼 기분 좋은 서늘함을 느끼게 해 주겠다는 목표로 제품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자연의 시원함’을 파는 기업은 또 있다. 일본의 발뮤다다. 이 회사는 보통 날개가 네 개 달린 선풍기 바람은 너무 강하고 불편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선풍기를 착안했다. 날개가 14개짜리 팬을 2중으로 달았다. 바람이 부드러우면서도 멀리 간다. 사용자에게 ‘언덕 위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맞는 기분’을 체험하게 해 준다는 게 이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LG전자는 프리미엄 브랜드인 ‘LG시그니처 가습공기청정기’를 마케팅할 때 체험을 강조하고 있다. 이 제품은 가습기와 공기청정기를 하나로 묶었다. 일단 일반 공기청정기와 마찬가지로 필터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거른 뒤 미세한 수분을 한 번 더 뿌린다. 비온 뒤 맑은 공기를 들이마시는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열 배 비싸도 불티나게 팔려
삼성의 무풍 에어컨, 발뮤다의 선풍기, LG의 시그니처 가습공기청정기는 공통점이 있다. 다른 제품보다 훨씬 비싸다. 무풍 에어컨은 최저 200만원, 최고 700만원대로 일반 에어컨보다 두 배 이상 가격이 높다. 발뮤다 선풍기는 50만원대로, 시중에서 파는 일반 선풍기보다 10배 이상 비싸다. 이달 중 출시 예정인 LG의 가습공기청정기는 출고가가 149만원이다. 고급 공기청정기 세 대를 사고도 남는 돈이다.
이들 제품은 불티나게 팔린다. 삼성은 무풍 에어컨 인기에 힘입어 올해 2013년 세운 연간 에어컨 최대 판매 기록 경신을 노리고 있다. 발뮤다 선풍기는 지난해 국내에서만 5000대 이상을 팔았고, 올해는 전년 대비 두 배 넘는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제품을 살 때는 가격 대비 성능을 꼼꼼히 따지지만, ‘느낌’을 살 때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29일 밤 최저기온이 3도까지 떨어진 쌀쌀한 날씨의 일본 도쿄. 늦은밤 분홍색 레깅스 복장의 일본 여성들과 운동복 차림의 남성들 수십명이 도쿄 번화가 시부야로 쏟아져나왔다. 이들은 웃는 얼굴로 시내 5km를 달리는 '나이트러닝'을 즐겼다. 이들이 입은 옷은 한국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젝시믹스' 제품이었다. K패션 브랜드들이 일본에서 연이어 이벤트를 열며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일본 주요 백화점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기도 하고, 일본 스포츠 스타를 후원하는 골프웨어 업체도 있다. 이번엔 시부야 거리에서 러닝 이벤트를 개최하는 스포츠웨어 브랜드까지 나왔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가 전개중인 브랜드 젝시믹스(XEXYMIX)는 일본 시장 확대를 위해 현지 고객을 대상으로 한 참여형 스포츠 이벤트를 전개했다고 6일 밝혔다. 젝시믹스는 2019년부터 일본에 진출해 현지 온라인 플랫폼 ‘라쿠텐’ 입점 및 오사카, 나고야, 도쿄 등에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중이다. 올해 첫 이벤트는 현지 헬스·피트니스 스튜디오 ‘그릿 네이션(GRIT NATION)’과 협업한 '젝시믹스X그릿 네이션 런 이벤트(XEXYMIX x GRIT NATION RUN EVENT)'다. 참석 인원은 젝시믹스 공식 온라인몰 구매 회원 가운데 추첨을 통해 선발됐다.이어 2월 2일에는 전문 트레이너와 함께 근력 운동을 배울 수 있는 '켄&야기미(KEN & YAGIMI) 합동 트레이닝 이벤트'도 열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진행된 이번 이벤트는 일본 최초의 PT 전용 렌탈 체육관으로 유명한 HALLEL(할렐) 시부야점에서 소규모 그룹 레슨으로 운영됐다.한국에서는 러닝 문화가 지난해 본격 유행하기 시작했지만, 일
"얼마 전 연인에게 프러포즈했는데 한번 쓰고 버리긴 아까워서 당근에 올렸습니다. 올리자마자 3명한테 연락이 왔어요."최근 10년 만난 연인에게 프러포즈를 했다는 최 모씨(31)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한 두 시간 정도만 쓴 거라 깨끗하기도 하고 이걸 새것으로 사면 은근히 돈이 많이 들어서 다른 분도 하실 거면 중고로 구매해서 사용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내놨다"고 말했다.내년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 김 모씨(31)는 "프러포즈 용품을 인터넷에서 구매했는데 5~6만원 정도 들었다"며 "사용 후 그냥 창고에 두면 자리만 차지하고, 버리자니 멀쩡한 물건을 쓰레기 만드는 거 같아서 필요한 분이 저렴하게 사용하라고 중고 앱에 올렸다"고 전했다.결혼을 앞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중고거래 플랫폼 등에서 프러포즈 용품, 각종 기념일 소품을 거래하는 모습이 심심찮게 포착되고 있다.6일 당근, 중고나라, 번개장터 등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 '프러포즈 용품', '프러포즈', '이벤트'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프러포즈 이벤트에 필요한 LED 장미, 풍선, 플래카드 등의 패키지 매물이 다수 발견된다. 대다수의 용품이 가격은 5000원~4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물품은 이미 새로운 주인에게 팔려 나간 상태다.중고나라 시세 조회에 따르면 '프러포즈 용품'의 평균 시세 등록 가는 3만원이며 최저가는 8000원 최고가는 7만원 선이었다. 판매자들은 "한 번 사용한 프러포즈 용품 팝니다", "연인 이벤트 장식용 풍선 거의 새것과 다름없습니다. 저렴하게 가져가세요" , "이 물건으로 프러포즈 성공 후 결혼에 골인했습니다" 등의 설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밸런타인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이번 기획전에서는 밸런타인데이 선물을 직접 준비할 수 있도록 초콜릿 DIY(Do It Yourself) 재료, 도구, 포장 용품 등 160여 종의 상품을 선보인다.초콜릿 DIY 세트인 '바크 과일 초콜릿 만들기 세트'는 리본, 하트, 장미, 왕관 등 다양한 모양의 몰드와 건과일, 스프링클 토핑이 포함돼 있다. 바크 초콜릿은 나무껍질처럼 얇은 형태로, 함께 제공되는 포장 비닐과 끈으로 선물 포장까지 할 수 있다.또 브라우니를 만들 수 있는 '브라우니 믹스'와 '다크 초코칩', '다크 초코 청크'도 판매한다. 쿠키나 초콜릿을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데코 펜'도 선보인다.초콜릿 제작에 필요한 도구들도 있다. '실리콘 베이킹 몰드 15구 하트'는 실리콘 소재로 베이킹은 물론 캔들, 얼음 틀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실리콘 바크 초콜릿 몰드 삼각'은 보석 같은 패턴을 연출할 수 있고 '짤주머니 세트(깍지 6개입)'는 다양한 모양의 깍지와 함께 제공돼 다용도로 사용 가능하다.다이소 관계자는 "직접 선물을 만들어 정성과 가성비를 모두 챙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며 "앞으로도 특별한 날을 더욱 즐겁게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라현진 기자 raral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