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만 남은 비박…친박 3명은 완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누리 당대표 경선구도 '요동'
주호영, 정병국 꺾고 비박 단일후보로
친박 "비박 패권주의" 맹비난
내부서 단일화 목소리 커져
이주영 "후보들 못만날 이유 없다"
주호영, 정병국 꺾고 비박 단일후보로
친박 "비박 패권주의" 맹비난
내부서 단일화 목소리 커져
이주영 "후보들 못만날 이유 없다"
새누리당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주호영 후보(사진)가 5일 비박(비박근혜)계 단일 후보가 됐다. 주 후보는 정병국 후보와의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에서 예상을 깨고 승리해 비박계의 후보 단일화를 완성함으로써 전당대회 구도가 요동치고 있다.
주 후보는 이날 충남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합동연설회 직후 한 기자회견에서 “당을 화합과 혁신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후보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말에 공감해 단일화에 동참했다”며 “당을 개혁하고 화합으로 이끌어야 하는데, 화합과 혁신의 당 역량을 극대화하고 국민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당 대표가 되겠다”고 말했다. 비박계는 앞서 정 후보와 김용태 의원 간 1차 단일화를 이룬 데 이어 주 후보로 통합 후보를 내게 됐다.
주 후보 승리는 친박(친박근혜)계에 거부감을 가진 당원들의 전략적 선택이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주 후보는 새누리당 텃밭인 대구·경북(TK)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데다 계파색이 옅어 표 확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당초 정치권 안팎에선 인지도에서 앞선 정 후보의 승리 가능성을 더 높게 예상했다.
비박계 좌장인 김무성 전 대표가 비박 단일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혀 온 만큼 당원 표심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주 후보는 “나는 무계파 중립을 주장하기 때문에 내가 여러 사람에게 똑같은 유권자로서 지지를 호소할 수는 있지만 (김 전 대표를) 만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비박계 후보 단일화로 친박계 내에서도 단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친박 입장에선 1(비박) 대 3(친박) 구도가 형성돼 불리하다”며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복잡한 속내를 내비쳤다.
그러나 단일화에 대한 친박계 후보들의 의견은 갈린다. 이주영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을 자청해 “비박 단일화는 또 다른 비박 패권주의”라며 “단일화 흥행효과를 누리며 비박계 대표가 되려는 후보나, 이를 뒤에서 조종하는 김 전 대표는 반혁신 행보를 중단하라”고 김 전 대표를 정면 겨냥했다. 그러면서도 친박계 다른 후보가 만남을 제안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엔 “우리 의원들끼리 못 만날 이유가 없으며 만나는 것을 피할 이유도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정현 후보는 단일화에 긍정적이나, 한선교 후보는 부정적이다. 친박 3인방이 완주할 경우 친박계는 7일 전에 유력 후보를 밀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주 후보는 이날 충남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합동연설회 직후 한 기자회견에서 “당을 화합과 혁신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후보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말에 공감해 단일화에 동참했다”며 “당을 개혁하고 화합으로 이끌어야 하는데, 화합과 혁신의 당 역량을 극대화하고 국민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당 대표가 되겠다”고 말했다. 비박계는 앞서 정 후보와 김용태 의원 간 1차 단일화를 이룬 데 이어 주 후보로 통합 후보를 내게 됐다.
주 후보 승리는 친박(친박근혜)계에 거부감을 가진 당원들의 전략적 선택이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주 후보는 새누리당 텃밭인 대구·경북(TK)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데다 계파색이 옅어 표 확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당초 정치권 안팎에선 인지도에서 앞선 정 후보의 승리 가능성을 더 높게 예상했다.
비박계 좌장인 김무성 전 대표가 비박 단일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혀 온 만큼 당원 표심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주 후보는 “나는 무계파 중립을 주장하기 때문에 내가 여러 사람에게 똑같은 유권자로서 지지를 호소할 수는 있지만 (김 전 대표를) 만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비박계 후보 단일화로 친박계 내에서도 단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친박 입장에선 1(비박) 대 3(친박) 구도가 형성돼 불리하다”며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복잡한 속내를 내비쳤다.
그러나 단일화에 대한 친박계 후보들의 의견은 갈린다. 이주영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을 자청해 “비박 단일화는 또 다른 비박 패권주의”라며 “단일화 흥행효과를 누리며 비박계 대표가 되려는 후보나, 이를 뒤에서 조종하는 김 전 대표는 반혁신 행보를 중단하라”고 김 전 대표를 정면 겨냥했다. 그러면서도 친박계 다른 후보가 만남을 제안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엔 “우리 의원들끼리 못 만날 이유가 없으며 만나는 것을 피할 이유도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정현 후보는 단일화에 긍정적이나, 한선교 후보는 부정적이다. 친박 3인방이 완주할 경우 친박계는 7일 전에 유력 후보를 밀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