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금융 가세…모바일은행 '춘추전국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원뱅크' 10일 출범
은행·보험·캐피털…'원스톱' 서비스로 차별화
위비·써니 등 다른 모바일은행과 본격 경쟁
은행·보험·캐피털…'원스톱' 서비스로 차별화
위비·써니 등 다른 모바일은행과 본격 경쟁
농협금융그룹이 은행뿐 아니라 보험, 캐피털, 저축은행 등의 서비스를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올원뱅크(All One Bank)’를 새로 선보인다. 다른 금융그룹에 비해 출시는 늦었지만, 원스톱 금융 서비스를 내세워 모바일 금융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농협금융은 8일 서울 새문안로 본점에서 김용환 회장과 이경섭 농협은행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올원뱅크 출범식을 열고 1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올원뱅크는 농협금융의 모든 계열사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다른 모바일은행과 차별화된다. 올원뱅크에 접속하면 농협은행의 금융상품은 물론이고 NH농협손해보험 여행자보험, NH농협캐피탈과 NH저축은행의 대출 등 계열사에서 제공하는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올원뱅크는 또 메인 화면을 이용자가 직접 꾸밀 수 있도록 했다. 지문과 핀(PIN·개인식별)번호 등 다양한 간편 인증 방식을 도입했다. 그룹 송금과 경조금 서비스 등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 서비스를 포함했다. 상대방 전화번호만 알면 바로 돈을 보낼 수 있는 간편송금 기능도 넣었다.
농협금융은 오는 11월 지방세 스마트 알림과 납부 서비스를 시작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과 고지·수납 시스템을 연계해 금융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김 회장은 “농협금융 전 계열사가 올원뱅크를 통해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찾을 것”이라며 “인터넷전문은행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대항마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농협금융까지 모바일 금융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우리은행이 지난해 5월 금융권 최초로 위비뱅크를 선보인 이후 써니뱅크(신한은행), 원큐뱅크(KEB하나은행), 아이원뱅크(기업은행) 리브(국민은행) 등이 속속 등장했다. 핀테크(금융+기술)가 발전하면서 자동차금융, 오픈마켓 등 새로운 수익원 발굴도 빨라지고 있다.
여러 모바일 플랫폼이 별반 차이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화번호 송금 등 강점으로 내세우는 서비스를 다른 곳에서도 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요 금융회사의 모바일 플랫폼이 크게 차별화되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 특장점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모바일뱅킹이 인터넷뱅킹을 대체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설명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농협금융은 8일 서울 새문안로 본점에서 김용환 회장과 이경섭 농협은행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올원뱅크 출범식을 열고 1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올원뱅크는 농협금융의 모든 계열사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다른 모바일은행과 차별화된다. 올원뱅크에 접속하면 농협은행의 금융상품은 물론이고 NH농협손해보험 여행자보험, NH농협캐피탈과 NH저축은행의 대출 등 계열사에서 제공하는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올원뱅크는 또 메인 화면을 이용자가 직접 꾸밀 수 있도록 했다. 지문과 핀(PIN·개인식별)번호 등 다양한 간편 인증 방식을 도입했다. 그룹 송금과 경조금 서비스 등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 서비스를 포함했다. 상대방 전화번호만 알면 바로 돈을 보낼 수 있는 간편송금 기능도 넣었다.
농협금융은 오는 11월 지방세 스마트 알림과 납부 서비스를 시작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과 고지·수납 시스템을 연계해 금융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김 회장은 “농협금융 전 계열사가 올원뱅크를 통해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찾을 것”이라며 “인터넷전문은행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대항마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농협금융까지 모바일 금융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우리은행이 지난해 5월 금융권 최초로 위비뱅크를 선보인 이후 써니뱅크(신한은행), 원큐뱅크(KEB하나은행), 아이원뱅크(기업은행) 리브(국민은행) 등이 속속 등장했다. 핀테크(금융+기술)가 발전하면서 자동차금융, 오픈마켓 등 새로운 수익원 발굴도 빨라지고 있다.
여러 모바일 플랫폼이 별반 차이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화번호 송금 등 강점으로 내세우는 서비스를 다른 곳에서도 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요 금융회사의 모바일 플랫폼이 크게 차별화되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 특장점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모바일뱅킹이 인터넷뱅킹을 대체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설명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