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근 교통운영계장(41·사진)은 “한국은 보행자 사망자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4배가량 높다”며 “올해 초부터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 위한 3개년 프로젝트’에 들어갔다”고 강조했다. 3개년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해 1795명에 달한 전국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2018년 900명대로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최 계장은 ‘생활도로구역’ 확대를 위한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말한다. 그는 “경찰의 생활도로구역 추진 지침으로만 운영돼 국비 지원이 불가능하다”며 “지방자치단체들이 이 구역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은 하면서도 열악한 재정 상황을 이유로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일반인에게 생소한 생활도로구역 명칭을 ‘30구역’으로 바꿀 계획이다. 네덜란드(Zone30), 영국(20 mph Zone), 독일(Tempo 30) 등 선진국처럼 제한 속도를 가리키는 숫자 ‘30’을 표시해 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최 계장은 “제도 도입 당시 일본의 ‘커뮤니티존’을 번역해 생활도로구역이 됐다”며 “어린이보호구역처럼 운전자들이 30구역에서도 자연스럽게 감속 운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계장은 “경찰청도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 등 관련 부처와 도로교통법 개정안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3년 간부후보생 51기로 경찰 생활을 시작해 경찰청 기획조정관실, 감사실 등에서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박상용/심은지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