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만큼 뜨거운 주택거래량…7월 9만5578건, 역대 두 번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수도권 거래량 5개월째 증가
지방은 지난해보다 27.3% 감소
지방은 지난해보다 27.3% 감소
지난달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이 7월 기준으로 지난해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지난달 주택거래량은 사상 최대이던 지난해까지 뛰어넘었다.
국토교통부는 7월 주택거래량이 9만5578건으로 2006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였던 지난해 같은 달(11만675건)에 비해선 13.6% 줄었지만 최근 5년(2011~2015년) 평균보다는 33.8% 늘었다고 15일 발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주택시장 호황이 계속되면서 지난 2월 이후 주택매매 거래량이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이 주택 거래시장을 이끌었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거래량은 5만6629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0.8% 줄었지만 최근 5년 평균에 비해선 85% 이상 급증했다. 그중에서도 서울 주택거래(2만2852건)는 작년 7월보다 6.9% 늘어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5년 평균에 비해선 127% 증가했다. 반면 지방의 지난달 주택거래량은 3만8949건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7.3%, 최근 5년 평균에 비해 4.9% 줄었다.
전국 주요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일부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지방 중소도시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지난달 12억3000만원(3층)에 거래돼 1개월 만에 4000만원 올랐다. 부산 해운대구 좌동 SK뷰 60㎡는 2억2500만원(17층)으로 1500만원 상승했다.
전국 전·월세 주택 가운데 아파트 월세 비중은 40.5%로 전년 동기보다 3.1%포인트 높아졌다. 역대 최고치다. 아파트 외 월세 비중도 역대 최고인 50.3%로 절반을 넘어섰다. 전셋값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 또는 약보합세다. 서울 강동 둔촌주공 4단지 99㎡(10층) 전셋값은 지난 4월 2억3000만원에서 지난달 1억7500만원으로 5500만원 떨어졌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국토교통부는 7월 주택거래량이 9만5578건으로 2006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였던 지난해 같은 달(11만675건)에 비해선 13.6% 줄었지만 최근 5년(2011~2015년) 평균보다는 33.8% 늘었다고 15일 발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주택시장 호황이 계속되면서 지난 2월 이후 주택매매 거래량이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이 주택 거래시장을 이끌었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거래량은 5만6629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0.8% 줄었지만 최근 5년 평균에 비해선 85% 이상 급증했다. 그중에서도 서울 주택거래(2만2852건)는 작년 7월보다 6.9% 늘어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5년 평균에 비해선 127% 증가했다. 반면 지방의 지난달 주택거래량은 3만8949건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7.3%, 최근 5년 평균에 비해 4.9% 줄었다.
전국 주요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일부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지방 중소도시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지난달 12억3000만원(3층)에 거래돼 1개월 만에 4000만원 올랐다. 부산 해운대구 좌동 SK뷰 60㎡는 2억2500만원(17층)으로 1500만원 상승했다.
전국 전·월세 주택 가운데 아파트 월세 비중은 40.5%로 전년 동기보다 3.1%포인트 높아졌다. 역대 최고치다. 아파트 외 월세 비중도 역대 최고인 50.3%로 절반을 넘어섰다. 전셋값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 또는 약보합세다. 서울 강동 둔촌주공 4단지 99㎡(10층) 전셋값은 지난 4월 2억3000만원에서 지난달 1억7500만원으로 5500만원 떨어졌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