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지표, 목표치에 근접"…9월 금리인상 시그널 준 피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용·물가지표 좋아져 낙관
금리 언급 안했지만 인상론 무게
장기적으론 생산성 하락 우려
금리 언급 안했지만 인상론 무게
장기적으론 생산성 하락 우려
미국 중앙은행(Fed) 내부에서 추가 금리인상이 임박했다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Fed는 지난해 12월 7년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뒤 8개월 동안 동결(연 0.25~0.50%)해왔다. 금리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오는 9월20~21일 이틀간 열린다.
스탠리 피셔 Fed 부의장(사진)은 21일(현지시간) 콜로라도주(州) 아스펜에서 한 연설에서 “고용시장이 확실한 회복력을 보여주는 데다 인플레이션도 목표치에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까지 와 있다”며 “(통화정책) 목표를 거의 달성했다”고 말했다.
Fed는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고용지표와 물가상승률을 근거로 한다. 최근 실업률(7월 4.9%)과 월 신규 일자리 증가수(25만5000개) 등 고용지표는 완전고용 수준까지 와 있다. 개인소비지출(PCE) 기준 물가상승률은 지난 6월 0.9%로 목표치(2%)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가격 변동이 심한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상승률은 1.6%로 목표치(2%)에 근접해 있다.
피셔 부의장은 “미국 경제는 여섯 가지 과속방지턱에도 불구하고 순항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단기 경기전망이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속방지턱으로 △그리스 부채위기 △강(强)달러 △중국의 위안화 가치 절하 △글로벌 금융시장 혼란 △5월 고용쇼크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투표 등을 꼽았다.
미국 경제가 이런 장애물을 극복하고 고용 개선과 물가 상승이라는 두 가지 통화정책 목표를 거의 달성한 만큼 Fed는 과열 조짐을 보이기 전에 선제 조치(추가 금리인상)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 등 미국 언론은 이날 “피셔 부의장이 직접적으로 금리인상 시기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6일엔 윌리엄 더들리 뉴욕연방은행 총재와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연방은행 총재가, 18일엔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연방은행 총재가 경제지표 개선을 근거로 9월 금리인상이 가능하다고 발언했다. 다만 피셔 부의장은 미국 경제가 장기적으로는 세 분기 연속 생산성 하락, 저조한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등 심상찮은 ‘경고음’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리를 더 올리면 통화정책 여지가 적어지기 때문에 미 정부는 철도 교량 공항 등 인프라와 교육에 대규모 투자를 해야 하고, 정치권은 대대적인 규제완화 입법으로 생산성 개선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박수진 특파원 psj@hankyung.com
스탠리 피셔 Fed 부의장(사진)은 21일(현지시간) 콜로라도주(州) 아스펜에서 한 연설에서 “고용시장이 확실한 회복력을 보여주는 데다 인플레이션도 목표치에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까지 와 있다”며 “(통화정책) 목표를 거의 달성했다”고 말했다.
Fed는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고용지표와 물가상승률을 근거로 한다. 최근 실업률(7월 4.9%)과 월 신규 일자리 증가수(25만5000개) 등 고용지표는 완전고용 수준까지 와 있다. 개인소비지출(PCE) 기준 물가상승률은 지난 6월 0.9%로 목표치(2%)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가격 변동이 심한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상승률은 1.6%로 목표치(2%)에 근접해 있다.
피셔 부의장은 “미국 경제는 여섯 가지 과속방지턱에도 불구하고 순항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단기 경기전망이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속방지턱으로 △그리스 부채위기 △강(强)달러 △중국의 위안화 가치 절하 △글로벌 금융시장 혼란 △5월 고용쇼크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투표 등을 꼽았다.
미국 경제가 이런 장애물을 극복하고 고용 개선과 물가 상승이라는 두 가지 통화정책 목표를 거의 달성한 만큼 Fed는 과열 조짐을 보이기 전에 선제 조치(추가 금리인상)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 등 미국 언론은 이날 “피셔 부의장이 직접적으로 금리인상 시기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6일엔 윌리엄 더들리 뉴욕연방은행 총재와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연방은행 총재가, 18일엔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연방은행 총재가 경제지표 개선을 근거로 9월 금리인상이 가능하다고 발언했다. 다만 피셔 부의장은 미국 경제가 장기적으로는 세 분기 연속 생산성 하락, 저조한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등 심상찮은 ‘경고음’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리를 더 올리면 통화정책 여지가 적어지기 때문에 미 정부는 철도 교량 공항 등 인프라와 교육에 대규모 투자를 해야 하고, 정치권은 대대적인 규제완화 입법으로 생산성 개선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박수진 특파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