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4차례나 고배를 들었던 우리은행 민영화가 매각공고를 시작으로 공식 절차에 돌입합니다. 투자 주체에 따른 과점주주 구성, 이로 인한 지배구조, 예보의 잔여 지분 처리 등 향후 민영화를 둘러싼 쟁점을 짚어봤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잡니다.<기자>지면에 게재된 우리은행 매각 공고문입니다.5수째에 도전하는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경영권 프리미엄을 내려놓는 대신 과점주주 방식 등 세부 내용을 담으며 매각이 본격 시작됨을 알리고 있습니다.우리은행은 그간 수익과 건전성 개선을 통해 매물로서의 가치를 끌어올리며 대비해 온 가운데 시장의 시선은 지분을 매입하게 될 투자자의 면면, 잔여지분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정부 개입의 단초가 되고 이는 곧 주가·기업가치, 민영화 성공에 연관되기 때문입니다.현재 정부와 당국, 우리은행 등과 의견을 교환한 투자자로 거론되는 곳은 국내 금융사와 연기금, 중국·중동·일본 자본과 국부·사모펀드 등 10여 곳.은행업 진출과 포트폴리오를 다변화, 안정적인 배당, 재무적 수익을 원하는 국내외 증권과 보험사, 자본의 합류 여부가 주가, 매각 흥행의 관건입니다.또 다른 문제는 과점주주 입찰, 매각에 성공한 이후 남아 있게 될 예보의 지분, 이에 따른 지배구조와 CEO 인선, 기업구조조정 등 의사결정에 대한 정부의 개입 여부입니다.예보의 잔여 지분 21%에 더해 참여 가능성이 높은 연기금 등의 사외이사 배정, 이후 행장 인선 등 경영과정에 개입할 가능성이 남게 된다는 것입니다.해외 투자자들이 지적하는 우리은행의 주가 디스카운트 요인인 관치 논란이 지속 불거지면서 정부도 이번 매각과 관련해 신경을 쓰는 모습입니다.<인터뷰> 윤창현 공자위원장“매각 성공이후 예보는 잔여지분 21%를 보유한 투자자 및 공적자금 관리 기관으로서 잔여지분의 Upside Gain 획득을 위한 최소한의 관리 기능만 수행하고”당국과 공자위는 매각 이후 예보와의 MOU 해제 등 ‘경영 불개입’을 언급하며 믿어달라는 입장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장은 의구심을 떨쳐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인터뷰> 금융권 관계자“주가 높여서 회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간섭을 한려고 한다면 주가는 오르지 않는다. (개입을 하면) 주가를 올려 공적자금 회수 높이기 위해 21% 남긴 것이라는 정부 이야기 거짓이 된다. 결국 진정한 민영화 실패하는 셈”투자주체로서, 지배구조의 한 축이 될 과점주주의 면면과 비중, 정부의 개입이 쟁점이 되고 있는 가운데 어떻게 투자자를 선별하고 탈 관치의 신뢰를 심어 줄 지, 5수째 민영화의 관전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배우 엄태웅 ‘무고 가능성’ 모락모락...수상한 게 많아!ㆍ이마트, `노브랜드` 전문점 연다…1호점은 용인ㆍ신하균 김고은 ‘럭셔리’ 열애, 차별화된 만남 “”부럽다고 난리“ㆍ엄태웅 성폭행 고소녀, 3000만원대 선불금 사기… 구속 상태서 고소, 이유는?ㆍ배우 엄태웅 性 논란 휘말려… 정면대응 아닌 회피 택한 이유는? `다소 아쉬운 행보`ⓒ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