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활주로로 운영하는 전 세계 공항 중 제주국제공항이 지난해 두 번째로 많은 여객 수송실적을 기록했다.

30일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제주공항은 지난해 2604만1115명을 수송한 것으로 집계돼 단일 활주로를 운영하는 공항 중 수송실적 2위를 차지했다고 국제공항협회(ACI)가 밝혔다.

1위는 터키의 사비하곡센 공항으로 2828만5578명을 수송, 제주공항보다 224만4463명(8.6%)이 많았다.

3위는 영국 스탠스테드 공항(2250만3916명), 4위는 일본 후쿠오카 공항(2094만2217명), 5위는 스위스 제네바 공항(1569만1077명)이 각각 차지했다.

1위를 차지한 사비하곡센 공항은 24시간 운영해 운항 편수가 21만8626편으로 제주공항 15만8583편과 비교하면 1.4배 많다.

제주공항의 시간당 운항 편수에 따른 수송 실적(4198명)은 사비하곡센(3229명)보다 30%가량 많다.

제주공항의 지난해 항공기 이착륙 횟수는 15만9691회로, 연간 최대치인 17만2000회의 92.5%에 이르는 등 포화 수준이다.

여객기가 몰릴 때는 1시간 최대 35편이 이·착륙, 1분 40초마다 여객기가 뜨고 내릴 정도로 활주로가 바쁘게 운영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