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시밀러, 한국 제약 新시대 이끌 것…7개 퍼스트무버 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가 한국 제약산업의 새로운 전기를 이끌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삼정KPMG는 30일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기회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방안'이라는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개화가 내수에 그쳤던 한국 제약산업에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8개의 대형(블록버스터급) 바이오의약품의 특허만료가 예정돼 있다. 이 중 7개 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쟁에서 국내 기업들이 앞서 있는 상황이란 것이다. 시장조사기업 이벨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올해부터 5년간 연평균 7% 성장을 기록해 2020년 278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메모리반도체의 지난해 세계 시장 규모가 784억달러라는 것을 감안하면, 새로운 수출 성장동력으로서 바이오의약품은 매력적이다.
특히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가격의 70% 수준인 바이오시밀러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는 합성의약품 대비 비싼 가격으로 인해 바이오의약품을 사용하지 못한 새로운 환자들의 수요를 만들 것이란 관측이다.
2020년까지 특허만료가 예정된 휴미라 엔브렐 레미케이드 아바스틴 허셉틴 란투스 리툭산 뉴라스타 등 8개 블록버스터의 2015년 총매출은 635억달러에 달한다. 이 중 뉴라스타를 제외한 7개 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있어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이 선두그룹에 포함돼 있다.
현재의 경쟁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해외 영업력 강화하고, 오피니언 리더 및 우량 협력사를
확보해야 한다는 권고다. 또 글로벌 제약회사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시밀러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두빈 책임연구원은 "특허만료로 시작된 바이오시밀러 경쟁은 향후 5~6년 내로 승자가 결정되고 시장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며 "바이오시밀러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와 판매망 등을 확보한 이후에는 바이오베터와 신약으로 개발 영역을 확장해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삼정KPMG는 30일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기회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방안'이라는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개화가 내수에 그쳤던 한국 제약산업에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8개의 대형(블록버스터급) 바이오의약품의 특허만료가 예정돼 있다. 이 중 7개 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쟁에서 국내 기업들이 앞서 있는 상황이란 것이다. 시장조사기업 이벨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올해부터 5년간 연평균 7% 성장을 기록해 2020년 278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메모리반도체의 지난해 세계 시장 규모가 784억달러라는 것을 감안하면, 새로운 수출 성장동력으로서 바이오의약품은 매력적이다.
특히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가격의 70% 수준인 바이오시밀러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는 합성의약품 대비 비싼 가격으로 인해 바이오의약품을 사용하지 못한 새로운 환자들의 수요를 만들 것이란 관측이다.
2020년까지 특허만료가 예정된 휴미라 엔브렐 레미케이드 아바스틴 허셉틴 란투스 리툭산 뉴라스타 등 8개 블록버스터의 2015년 총매출은 635억달러에 달한다. 이 중 뉴라스타를 제외한 7개 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있어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이 선두그룹에 포함돼 있다.
현재의 경쟁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해외 영업력 강화하고, 오피니언 리더 및 우량 협력사를
확보해야 한다는 권고다. 또 글로벌 제약회사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시밀러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두빈 책임연구원은 "특허만료로 시작된 바이오시밀러 경쟁은 향후 5~6년 내로 승자가 결정되고 시장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며 "바이오시밀러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와 판매망 등을 확보한 이후에는 바이오베터와 신약으로 개발 영역을 확장해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