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죽은 아내를 찾기 위해 저승까지 쫓아간 올페(오르페우스) 역의 유태평양이 아내와의 두 번째 이별을 앞두고 부른 눈대목이다. 아내를 눈앞에서 잃어야 하는 남편의 심정이 하늘에 닿을 듯 절절했다. 몬테 바로크 오페라인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글루크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로 잘 알려진 오르페우스 신화가 동양 사상과 만난다. 9월23~28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초연하는 창극 ‘오르페오전’(사진)에서다.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다룬 이야기는 그동안 오페라와 연극, 무용 등 여러 장르로 변주돼 왔다. 창극으로 재탄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의 1호 여성 오페라 연출가이자 지난해 ‘적벽가’로 창극에 도전해 호평받은 이소영 씨가 연출한다. 그는 오르페우스 신화를 창극으로 만들기로 결심한 이유에 대해 “한국의 장자못 설화에도 ‘뒤돌아보면 돌로 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면서 “이 작품의 주제인 ‘뒤돌아봄’은 동·서양의 경계를 넘는 것은 물론 삶과 죽음을 돌아보게 하는 공통적 정서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원작에선 아내를 잃은 오르페우스가 지하로 내려가 죽음의 신에게 간청해 에우리디케를 다시 살리려고 한다. 에우리디케를 지상으로 데려갈 때까지 절대 돌아보지 말라는 조건을 어기고 뒤를 돌아본 오르페우스 때문에 에우리디케는 죽고 만다. 연출가는 여기에 동양적인 해석을 불어넣는다. 주인공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이름을 각각 올페와 애울로 바꾸고, 20대 초반 젊은 남녀로 설정했다. ‘뒤돌아봄’이라는 행위도 새롭게 해석했다. 인간의 호기심이나 실수가 아니라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이치를 지키고자 하는 애울의 마음을 깨달은 올페가 이승으로 돌아가기 위해 ‘뒤돌아봄’을 선택한다.
작곡과 음악감독은 ‘메디아’ ‘배비장전’ 등에서 음악을 담당한 황호준이 맡아 가락과 성음, 시김새 등 판소리 가창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해 작곡한 곡을 선보인다. 안무는 개성 넘치고 기발한 발상의 현대무용 작품을 선보여온 김보람 엠비규어스댄스컴퍼니 대표가 맡았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와 뮤지컬 ‘아리랑’ 등에서 활약한 이소연이 애울 역을, ‘국악계 아이돌’로 꼽히는 김준수와 여섯 살 때 판소리 ‘흥부가’를 최연소로 완창한 국악 신동 유태평양이 올페 역을 번갈아 연기한다. 유태평양은 “오르페오전의 주인공은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현대 젊은이들”이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감할 감정을 담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