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지연 전망에…환율 15원 넘게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달러당 1090원
1년 4개월 만에 최저치
1년 4개월 만에 최저치
미국 금리 인상 전망이 낮아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루 만에 15원 넘게 하락(원화 가치 상승)했다.
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15원20전 내린 달러당 1090원으로 마감했다. 지난해 5월19일(1088원10전) 이후 최저치다. 지난달 16일 기록한 연저점(1092원20전)을 한 달도 되지 않아 다시 썼다. 이날 환율은 전일보다 11원70전 내린 1093원50전으로 출발했다. 오후 들어 하락폭이 커지면서 장중엔 1089원70전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원화 가치가 급등한 데는 전날 발표된 미국 지표의 영향이 컸다. 미 공급관리협회(ISM)는 지난달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의 55.5에서 51.4로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2010년 2월 이후 최저치로, 시장 예상을 밑돈 수치다.
이에 따라 미 금리 인상이 이달 당장 이뤄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었다. 지난달 재닛 옐런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고용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자 9월 금리 인상론이 부각되면서 이달 초까지 달러 가치는 오름세였다. 하지만 고용지표와 서비스업 지표까지 예상보다 나쁘게 나오면서 미 금리 인상이 미뤄질 것이란 관측이 늘고 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은 “외국인의 주식 매수, 수출 업체의 달러매도가 몰리면서 원화 수요가 커졌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원화 가치가 급등한 데는 전날 발표된 미국 지표의 영향이 컸다. 미 공급관리협회(ISM)는 지난달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의 55.5에서 51.4로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2010년 2월 이후 최저치로, 시장 예상을 밑돈 수치다.
이에 따라 미 금리 인상이 이달 당장 이뤄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었다. 지난달 재닛 옐런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고용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자 9월 금리 인상론이 부각되면서 이달 초까지 달러 가치는 오름세였다. 하지만 고용지표와 서비스업 지표까지 예상보다 나쁘게 나오면서 미 금리 인상이 미뤄질 것이란 관측이 늘고 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은 “외국인의 주식 매수, 수출 업체의 달러매도가 몰리면서 원화 수요가 커졌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