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수도권매립지에 테마파크 짓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 부지소유권 연내 확보
태양광 발전단지도 건립
태양광 발전단지도 건립
인천시는 최근 수도권매립지의 매립면허권(매립부지 소유권)을 넘겨받기로 함에 따라 매립지에 에너지 재생시설과 휴식·위락시설이 들어서는 복합테마파크로 조성하기로 했다.
12일 인천시와 수도권매립지공사에 따르면 환경부와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 등 4자 협의체는 지난해 6월 수도권매립지 정책개선 협의에서 올해 말로 끝나는 매립지의 사용 연장(3-1공구)을 조건으로 환경부가 갖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운영권과 환경부·서울시 소유의 매립면허권 지분 전체를 인천시로 양도하기로 했다. 이후 인천시는 환경부 및 서울시와 1년여간 운영권 및 매립면허권 이양을 놓고 협상을 벌였고, 환경부 및 서울시의 매립면허권 1588만㎡ 중 1차분 665만㎡를 올해 말까지 받기로 했다.
서울시의회는 지난 9일 본회의를 열고 매립면허권을 인천시로 넘겨준다고 의결했다. 앞서 환경부도 올해 5월 환경부 지분을 인천시에 넘겨주기로 했다. 수도권매립지의 매립면허권은 서울시가 71.1%, 환경부가 28.9%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인천시는 올해 말까지 매립면허권 확보를 위한 행정 절차를 마치고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시 고위관계자는 “매립면허권을 확보함에 따라 1조3000억원 상당의 시 재산이 증가했다”며 “매립지에 복합테마파크와 드림파크 캠핑장 및 태양광 발전단지, 테마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테마파크는 캐나다 기업과 MOU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말까지 매립면허권 이양과 공유수면 취득을 완료한 뒤 수도권매립지 공사 이관 절차도 환경부와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매립장을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한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는 대체매립지 협상을 하지 않고 있어 향후 매립지를 놓고 갈등이 빚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
12일 인천시와 수도권매립지공사에 따르면 환경부와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 등 4자 협의체는 지난해 6월 수도권매립지 정책개선 협의에서 올해 말로 끝나는 매립지의 사용 연장(3-1공구)을 조건으로 환경부가 갖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운영권과 환경부·서울시 소유의 매립면허권 지분 전체를 인천시로 양도하기로 했다. 이후 인천시는 환경부 및 서울시와 1년여간 운영권 및 매립면허권 이양을 놓고 협상을 벌였고, 환경부 및 서울시의 매립면허권 1588만㎡ 중 1차분 665만㎡를 올해 말까지 받기로 했다.
서울시의회는 지난 9일 본회의를 열고 매립면허권을 인천시로 넘겨준다고 의결했다. 앞서 환경부도 올해 5월 환경부 지분을 인천시에 넘겨주기로 했다. 수도권매립지의 매립면허권은 서울시가 71.1%, 환경부가 28.9%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인천시는 올해 말까지 매립면허권 확보를 위한 행정 절차를 마치고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시 고위관계자는 “매립면허권을 확보함에 따라 1조3000억원 상당의 시 재산이 증가했다”며 “매립지에 복합테마파크와 드림파크 캠핑장 및 태양광 발전단지, 테마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테마파크는 캐나다 기업과 MOU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말까지 매립면허권 이양과 공유수면 취득을 완료한 뒤 수도권매립지 공사 이관 절차도 환경부와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매립장을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한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는 대체매립지 협상을 하지 않고 있어 향후 매립지를 놓고 갈등이 빚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