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5차 핵실험 증거 '제논' 검출 실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북한 핵실험의 증거가 될 수 있는 방사성 물질 '제논'을 탐지하기 위한 작업을 벌였지만 결국 실패했다.
15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5차 북한 핵실험으로 대기 중에 누출됐을 수 있는 방사성 제논을 탐지하기 위해 육상·해상·공중에서 공기 시료를 모아 분석했으나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1일 오전 9시부터 전날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작업이 이뤄졌다.
포집 대상은 제논의 방사성 동위원소 가운데 제논-131m, 제논-133, 제논-133m, 제논-135 등 4종이다. 이 네 가지 동위원소는 원자폭탄 원료인 우라늄(U)-235와 플루토늄(Pu)-239가 핵분열 할 때 생성되기 때문에, 북한 핵실험의 증거가 된다.
이 동위원소들 비율에 따라 우라늄에 의한 핵분열 반응인지, 플루토늄에 의한 것인지 등 북한의 핵폭탄 제조 방식을 알 수 있다.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역시 현재까지 방사성 핵종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CTBTO는 전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정보는 물론 핵물질 이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관측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지 가장 먼저 파악하는 곳 중의 하나였다.
원안위는 핵실험을 진행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가 단단한 화강암 지대인 데다, 지하 700m 아래 깊은 곳에서 실험해 방사성 물질이 공기 중으로 누출됐을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북한이 갱도를 견고하게 건설해 방사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거의 새어 나오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논은 반감기가 열흘 내외로 짧은 데다 대기 중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어 핵실험 직후 이른 시일 안에 탐지해야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지난 1·2·3차 핵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제논이 검출되지 않았다. 4차 핵실험에서 일부 확인됐지만, 양이 너무 적고 제논 동위원소 가운데 한 가지 종류만 검출돼 유의미한 결과로 보기 어려웠다.
일부에서는 포집 장비의 성능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고가의 장비를 들여오고도 연달아 방사성 물질 검출에 실패하면서 근본적인 포집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5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5차 북한 핵실험으로 대기 중에 누출됐을 수 있는 방사성 제논을 탐지하기 위해 육상·해상·공중에서 공기 시료를 모아 분석했으나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1일 오전 9시부터 전날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작업이 이뤄졌다.
포집 대상은 제논의 방사성 동위원소 가운데 제논-131m, 제논-133, 제논-133m, 제논-135 등 4종이다. 이 네 가지 동위원소는 원자폭탄 원료인 우라늄(U)-235와 플루토늄(Pu)-239가 핵분열 할 때 생성되기 때문에, 북한 핵실험의 증거가 된다.
이 동위원소들 비율에 따라 우라늄에 의한 핵분열 반응인지, 플루토늄에 의한 것인지 등 북한의 핵폭탄 제조 방식을 알 수 있다.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역시 현재까지 방사성 핵종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CTBTO는 전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정보는 물론 핵물질 이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관측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지 가장 먼저 파악하는 곳 중의 하나였다.
원안위는 핵실험을 진행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가 단단한 화강암 지대인 데다, 지하 700m 아래 깊은 곳에서 실험해 방사성 물질이 공기 중으로 누출됐을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북한이 갱도를 견고하게 건설해 방사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거의 새어 나오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논은 반감기가 열흘 내외로 짧은 데다 대기 중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어 핵실험 직후 이른 시일 안에 탐지해야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지난 1·2·3차 핵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제논이 검출되지 않았다. 4차 핵실험에서 일부 확인됐지만, 양이 너무 적고 제논 동위원소 가운데 한 가지 종류만 검출돼 유의미한 결과로 보기 어려웠다.
일부에서는 포집 장비의 성능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고가의 장비를 들여오고도 연달아 방사성 물질 검출에 실패하면서 근본적인 포집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