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핵만 바꿔 수정 시켜…윤리 논란 비켜간 신기술
영국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는 지난 4월 미국 새희망출산센터에서 요르단 출신 부모 유전자와 멕시코인 난자 기증자 유전자를 가진 남자 아기가 태어났다고 27일(현지시간) 전했다.
아브라힘 하산으로 불리는 생후 5개월 된 이 아기는 요르단 출신인 마흐모드 하산과 이브티샴 샤반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기 친모인 샤반은 뇌와 척수 등 중추신경계 기능이 떨어지는 희귀 유전병인 ‘리 증후군’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리 증후군은 미토콘드리아 DNA에 결함이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존 장 새희망출산센터 교수(사진)가 이끄는 연구진은 미토콘드리아 DNA에 결함이 있는 샤반의 난자에서 핵을 빼냈다. 그런 뒤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여성의 난자에서 핵을 빼내 그 자리에 샤반의 핵을 넣었다.
연구진은 이를 아빠의 정자와 수정시킨 뒤 5개 수정란 중 정상적으로 자란 하나를 샤반의 자궁에 착상시켰다. 수정란은 정상적으로 자랐고 10개월 뒤 하산이 건강하게 태어났다. 하산은 친엄마와 친아빠, 난자 제공자 등 세 명의 유전자를 모두 물려받았지만, 리 증후군을 유발하는 친엄마의 미토콘드리아 대신 난자 제공자의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물려받았다.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장은 “이번에 시도된 기술은 난자의 핵만 교체한 뒤 정자와 수정시키는 제3의 방식”이라며 “윤리 논란을 벗어나기 위한 새 방법을 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