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수 진작을 위해 1일부터 일반 화장품의 소비세를 폐지한다. 이에 따라 중국 내 한국산 화장품 판매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유커(중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내 화장품 구매는 상대적으로 줄어들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 구입해 중국으로 가져가 적지 않은 이득을 남겼던 장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중국 재정부는 일반 화장품의 소비세 30%를 없애고, 고급 화장품은 15%로 내린다고 30일 발표했다. 그동안은 화장품을 사치품으로 간주해 높은 소비세를 부과해 왔다. 하지만 중국인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이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아 소비세가 너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소비세 조정으로 중국 내에서 중국산 및 한국산 화장품 가격이 모두 내려간다. 한국산 화장품은 세금을 매길 때 보험료와 운송비 등도 포함돼 있어 중국산보다 가격 인하폭이 상대적으로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베이징 사무소장은 “정부 차원의 내수 활성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살아나지 않자 이번 조치를 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한국산 화장품의 가격 경쟁력이 더 생긴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