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사진)은 4일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와 관련해 "해운물류 사태와 그룹 문제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산업은행 감사에 일반증인으로 출석해 첫 발언으로 이같이 말했다. 조 회장이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후 공개 석상에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 회장은 "법정관리를 막기 위해 2014년 한진해운을 인수한 뒤 2조원의 유동성을 공급, 부채비율을 낮추고 4분기 동안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면서 ”수조원에서 수십조원의 정부 지원을 받는 외국 선사들의 저가공세와 물량공세로 사기업으로서 경쟁하는 데 한계를 느꼈다"고 밝혔다.

이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물류대란 등 여러 문제가 있어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던 것"이라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기업으로서 출혈경쟁에 한계를 느낀다는 설명을 직간접적으로 정부에 했지만 설득에 실패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가 지원을 하지 않은 것이 억울하냐는 질문에는 "억울하기보다는 정책결정권자 나름의 기준과 정책에 의한 결정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최선을 다했다"고 답했다.

조 회장은 한진해운에 기부한 사재 400억원과 관련해 "정확하진 않지만 제 재산의 20% 가량일 것"이라며 "경영 관련 책임을 느꼈고 하선 못 하는 선원들에게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까 싶어서 냈다"고 밝혔다.

또 조 회장은 한진그룹이 미르재단 등에 10억원을 출연한 것과 관련해 "당시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으로서의 업무에 집중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모른다"면서 "전결권을 가진 대한항공 사장으로부터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제안을 받았고, 재단의 목적이 좋아 10억원을 투자했다는 사후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