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주가 사라졌다. 지난해 크게 올랐던 제약과 화장품업체들이 각각 한미약품 사태와 사드(THAAD·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이라는 악재로 주춤하면서다. 정보기술(IT)과 철강 관련주 등 경기민감업종이 부각되고 있지만 차세대 주도주로 자리잡을지는 알 수 없다. 미국 대선, 금리 인상 결정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당분간은 주도업종이 없는 ‘종목 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이미지 크게보기
"실종된 주도주를 찾습니다"
주도주 사라진 증시

하반기 기술 수출 성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제약·바이오주는 최근 한미약품발 악재로 연일 주저앉고 있다. 5일 유가증권시장 의약품업종지수는 1.89%, 코스닥 제약업종지수는 1.07%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한미약품의 신약 수출 계약 파기에 따른 제약주의 약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을 맞이했지만 사드 배치 결정 이후 급락한 화장품업체 등 중국 소비 관련주는 반등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박근혜 정부가 만 4년을 맞으면서 새로운 정책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었다”며 “기존 증시 주도주가 다음 정권의 이슈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힘을 잃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약과 화장품을 이을 새 주도주 찾기에 증권가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최근 전문가들로부터 주목받는 업종은 IT와 소재(철강 화학) 산업재(조선 건설) 등 경기민감주다. 올해 2~9월 수익률 상위 종목인 반도체·장비(수익률 38%) 조선(32%) 상사(28%) 철강(20%) 등 업종이 증시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김형렬 교보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이들 업종은 수년간 업황이 침체돼 주가가 하락했다가 최근 구조조정을 통해 생존력을 높였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 포스코 등의 주가 상승이 대표적이다. 김병연 연구원은 “다음 주도주 후보군은 소비재보다는 소재, 산업재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업황 자체가 개선되지 않아 영업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은 한계로 꼽힌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IT 관련주도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차기 주도주 자리를 다시 노리고 있다. 하지만 최근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로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또 삼성전기 삼성SDI LG이노텍 등 대표 전자기업들의 실적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있어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평가다.

◆“배당·실적호전주 주목해야”

과거 ‘차·화·정(자동차·화학·정유)’이나 제약·화장품처럼 눈에 띄는 상승 업종이 보이지 않는 시황이어서 주도주를 찾기보다는 투자 타이밍을 재면서 종목별 대응을 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미국 대선과 금리 인상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는 일들이 예정돼 있는 만큼 다음 주도주를 기다리는 인내의 시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병연 연구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 당분간은 이렇다 할 주도주가 없는 순환매 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업종별 접근보다는 배당 관련주나 3분기 턴어라운드주 등을 눈여겨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3분기 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GS건설과 SK하이닉스 등을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다. 배당이 기대되는 KT&G와 SK텔레콤에도 관심을 가지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김병연 연구원은 “실적이 호전되면서 배당 여건까지 갖춘 포스코 기업은행 등도 투자 리스트에 올릴 만하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