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들은 소득이 적어 주로 원룸이나 다세대주택, 고시원 등에서 살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이런 소형 주택의 m²당 임대료가 타워팰리스 같은 중대형 아파트보다 비싸다고 하면 믿으시겠습니까?먼저 고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우리나라 20~30대 청년들의 월 평균 가처분소득은 180만원.이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4년 반을 꼬박 모아야 작은 원룸에 들어갈 수 있는 전세금 1억 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실제로는 벌어들이는 돈의 20% 이상이 월세 등 주거비로 들어가는 만큼, 월급을 모아 전세금을 마련한다는 것은 꿈만 같은 이야기입니다.게다가 원룸이나 다세대·다가구 등 소형주택의 m²당 월 임대료가 중대형 평수의 고급아파트보다 비싸다는 점도 가혹한 현실입니다.실제로 4평이 채 안 되는 서울 용산구의 한 원룸 임대료는 보증금을 포함해 m²당 4만6천 원으로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보다도 5천 원 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인터뷰> 임경지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단위면적 그러니까 m²당 임대료로 따졌을 때 중대형주택이 소형주택보다 절반가격 밖에 되지 않는데요. 오히려 저소득층이라든가 또는 임시적인 거처를 찾고 있는 청년들이 더욱더 높은 주거비부담을 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이유는 간단합니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데, 소형주택 공급은 오히려 줄었기 때문입니다.지자체별로 다양한 주거복지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공급량도 적고 입주 요건도 까다로워 별다른 도움이 안 되고 있습니다.주거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을 위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고영욱기자 yyko@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정준영 무혐의 “어떤 방송사가 부를까”...다시 컴백 준비 중?ㆍ침수차량 피해액 `무려 100억원` 어쩌나ㆍ승모근 없애는 운동, 비대칭 잡는 `꿀팁`ㆍ공현주, 영화 도촬논란 사과 “잘못 인정..심려끼쳐 죄송”ㆍ한국 카타르전 1골 1도움 기성용, 슈틸리케 감독 언급 "우리가 대한민국 각인시키길 바라"ⓒ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