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말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와 한국타이어는 미국 자동차부품 회사 비스테온이 가진 한라비스테온공조 지분 69.99%를 인수했다. 한라비스테온공조는 지난해 사명을 한온시스템으로 바꾸고 올해 액면분할, 분기배당을 했다. 최근 1년 사이 주가는 47.2% 뛰었다. 다른 자동차 부품주에 비해 고평가돼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 인수합병(M&A)을 통한 성장 가능성에 더 힘이 실리고 있다.
◆주인 바뀐 뒤 주가 상승세
지난 7일 한온시스템은 1.66% 내린 1만185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달 27일 최근 1년 내 최고가(1만3350원)를 찍고 숨 고르기 중이다. 지난 2월 액면가 500원인 주식을 100원으로 액면분할한 이후로는 12.86% 올랐다.
한온시스템은 1986년 한라그룹 산하 계열사로 출발한 자동차 열 관리 시스템 제조사다. 자동차 공조 부문 국내 시장점유율 1위(지난해 기준 48%) 회사다. 현대·기아자동차의 주요 부품 공급사지만 현대차그룹(51%)뿐 아니라 포드(24%), 마쓰다(9%), 크라이슬러(9%) 등으로 다변화된 매출처가 강점으로 꼽힌다.
덕분에 현대·기아자동차의 부진에도 한온시스템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4168억원으로 지난해(3596억원)보다 15.91% 높은 수준이다. 매출(5조8116억원)은 4.56%, 당기순이익(3130억원)도 28.59%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고연비, 친환경 자동차 시장이 커지고 있는 것도 한온시스템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재일 신영증권 연구원은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친환경차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 대비 전장부품의 채용률이 높아 단순 공조가 아니라 성능 유지를 위한 열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대당 판매단가도 높아 전기차 비중 확대는 마진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영증권은 한온시스템의 목표주가로 1만6000원을 제시했다.
◆“성장은 계속된다”
일부에서는 이미 너무 많이 올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온시스템의 주가수익비율(PER)은 27.43배로 동일업종(10.98배) 대비 높은 편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도 3.63배에 이른다. 자산가치 대비 현재 주가 수준이 그만큼 높다는 의미다. 김평모 동부증권 연구원은 “비용 통제 효과로 실적 개선은 지속되고 있지만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은 자동차 동력 전장화 수혜주로 꼽히는 경쟁사들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은 이에 대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연구개발(R&D) 관련 투자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정관 한온시스템 IR(기업설명)팀 팀장은 “허리띠 졸라매기 식의 단기 실적 개선이 아니라 근본적인 업무 효율성 증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올해 신규 환경풍동실을 준공했고 하반기에도 국내외에 첨단 연구설비 확대를 위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수합병(M&A)이나 합작사 설립을 통한 성장도 꾀하고 있다. 한온시스템은 올 8월에는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과 자본금 3300만위안(약 54억원) 규모의 현지 부품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신 팀장은 “앞으로도 신규 고객 확대, 글로벌 거점 확장, 기술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를 중점으로 한 전략적 M&A와 합작사 설립 기회를 엿보고 있다”며 “중국 외에 미주, 아프리카 지역 등 해외시장에도 전략적 투자 및 거점을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정세 급변과 계엄사태 후폭풍 등으로 소비심리가 크게 흔들리면서 국내 주요 유통·식품기업들의 실적 전망치가 연일 낮춰지고 있다. 증권가는 올 상반기까지 소비심리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이마트 등 백화점·마트 업체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 합산액은 4829억원으로 집계됐다. 1개월 전 합산액인 5546억원에서 12.92% 줄었다. 전망치가 가장 크게 감소한 기업은 이마트다.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한 달 전 525억원에서 최근 257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신세계는 같은 기간 1757억원에서 1525억원으로 13.2% 줄었고, 롯데쇼핑도 2182억원에서 1983억원으로 9.1%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영업이익 예상액이 1064억원으로 한 달간 18억원 줄어든 데 그쳐 비교적 양호했다. 업계에서는 작년 4분기 소비심리 악화가 실적에 직격타를 날렸다고 보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로, 11월보다 12.3포인트 내렸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당시인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지수 자체도 2022년 11월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상임금 판결로 일회성 비용부담이 커진 점도 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달 19일 대법원은 재직 여부나 근무 일수 조건이 붙은 임금도 통상임금의 산정 기준에 포함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통상임금 기준이 넓어지면 기업들이 직원 퇴직금 등으로 쌓아야 할 충당부채가 일시적으로 늘어난다. 지난 22일 실적을 발표한 한진은 지난해 연간 매출이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했지만, 4분기만 놓고 보면 통상임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인공지능(AI)이 세계 갑부들의 자산에도 직격탄을 날렸다.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세계 갑부 500위에 드는 자산가들은 이날 하루 약 1080억달러(약 156조2760억 원)를 잃었다.딥시크 충격으로 전 세계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주요 지수가 폭락했기 때문이다.갑부 중에서도 특히 AI 분야의 억만장자들이 가장 큰 손실을 봤다.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201억달러(약 29조746억원),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회장은 226억달러(약 32조7000억원)를 날렸다.손실 규모는 엘리슨 회장이 더 크지만, 자산에 미친 영향은 황 CEO 쪽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엘리슨 회장의 자산은 전체 중 12% 감소했지만, 황 CEO의 자산은 20%나 줄어들었다.황 CEO는 그간 AI 붐의 가장 큰 수혜자로 꼽힌다. 그의 재산은 2023년 초부터 딥시크 충격이 발생하기 직전까지 8배 가까이 증가했다.이와 함께 델의 창업자 마이클 델의 손실액은 130억달러(약 18조8000억원),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 창업자 자오창펑의 손실액은 121억달러(약 17조5000억원)로 각각 추산됐다.이날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7% 급락했다. 딥시크가 개발한 저비용 AI 모델이 미국 빅테크의 AI 관련 과잉투자 우려를 키웠기 때문이다.다만 황 CEO나 엘리슨 회장과 달리 일부 IT 거물들은 딥시크 충격 와중에 오히려 자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는 이날 자산이 43억 달러(약 6조2000억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자산은 6억3000만달러(약 9120억원) 증가했다.이는 엔비디아의 칩 구매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만타 네트워크의 모토는 '만타 네버스탑(Manta Never stops)'입니다. 지난 4년간 전 세계 60명 이상의 팀원들과 멈추지 않고 개발을 이어왔고, 앞으로도 최선의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나아갈 계획입니다"케니 리(Kenny Lee) 만타 네트워크 공동창립자(Co-Founder, 사진)는 25일 블루밍비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앞으로의 목표를 이같이 밝혔다. 영지식(ZK) 다중 모듈 생태계 만타 네트워크(MANTA)는 올해에도 탈중앙화금융(DeFi, 디파이) 대중화 전략을 통해 생태계 확장 가속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만타 네버스탑'…TGE 이후 성장 가속화케니 리는 만타 네트워크가 지난 한 해 동안 큰 성과를 이뤘다고 강조했다.만타 네트워크는 영지식(ZK)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중 모듈 생태계로, 이더리움 레이어2(L2) 네트워크 만타 퍼시픽(Manta Pacific)을 제공하고 있다. 만타 퍼시픽은 최초로 셀레스티아 기반 모듈형 DA(Data Availability)를 활용해 이더리움 생태계 내 모듈형 데이터 솔루션의 기준을 새로 정립하며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케니 리는 "지난해 1월 토큰 생성 이벤트(TGE) 이후 개발자들을 위한 인공지능(AI) 개발 도구 만타 AI 도입, 생태계 내 성장하는 팀들을 지원하기 위한 만타 퍼시픽 zk앱 엑셀러레이터 운영 등 주목할 만한 성과들을 내고 있다"라며 "향후 네트워크 규모가 커질수록 이러한 확장세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이 밖에도 만타는 △홍콩 정부 지원 혁신 프로그램 사이버 포트 합류 △5000만달러 규모 에코 펀드 설립 △만타 네트워크 내 밈 문화 진흥을 위한 봉크(BONK)와의 파트너십 △레이어2 가스피 리베이트를 위한 게인 프로그램 도입 △심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