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_황연수_정보보호전담.JPG
분당서울대병원_황연수_정보보호전담.JPG
정해진 투약시간 이외에 약을 투약할 때 오류가 생길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먹거나 바르는 약보다 주사제를 활용한 치료를 할 때 환자에게 잘못 처방하거나 투약할 가능성이 높았다.

황연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료정보센터 정보보호전담과 연구팀(박래웅·윤덕용 아주대 의과대학 교수, 황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안은경 동양대 교수)이 병원 빅데이터를 분석해 약물투여 오류원인을 분석했더니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2년 한해 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투여한 약물데이터 2900만건 중 오류 경고가 나온 3만 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정규 투약시간보다는 비정규 투약시간에 오류가 생길 위험이 1.6배 높았다. 추가처방이나 응급처방보다는 정기처방에서 1.4~1.5배 많은 투약오류가 생겼다. 먹는 약이나 바르는 약보다 주사약에서 투약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5~15% 높았다.

황연수 전담은 “투약 오류가 생기는 이유는 간호사 업무량보다는 투약에 집중할 수 없는 업무환경 때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의료기관에서 투약 오류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투약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