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리포트] 삼성전자 1호 벤처 '이놈들'에 거는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파리의 스타트업 톡톡
통화 가능한 스마트 시곗줄, 미국 크라우드펀딩 147만달러 대박
HW사업은 '중국의 추격' 위협…'실탄' 떨어지기 전 기반 다져야
김광현 < 디캠프 센터장 >
통화 가능한 스마트 시곗줄, 미국 크라우드펀딩 147만달러 대박
HW사업은 '중국의 추격' 위협…'실탄' 떨어지기 전 기반 다져야
김광현 < 디캠프 센터장 >
![[스타트업 리포트] 삼성전자 1호 벤처 '이놈들'에 거는 기대](https://img.hankyung.com/photo/201610/AA.12699799.1.jpg)
이놈들연구소는 삼성전자 출신 엔지니어 세 명이 창업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다. 삼성전자 분사 1호 스타트업으로 꼽힌다. 이놈들연구소의 강점과 약점도 여기서 유래한다. 최현철 대표는 디데이 질의응답 때 “(삼성 내부 정보라서) 말해도 되는지 모르겠다”고 해놓고 다 얘기해 폭소를 자아냈다. 대기업 체질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어 보였다. 다행히 8개월 동안 혁신이 가능한 개방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하는 데 성공했다.
![[스타트업 리포트] 삼성전자 1호 벤처 '이놈들'에 거는 기대](https://img.hankyung.com/photo/201610/01.12700586.1.jpg)
킥스타터 대박이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이놈들연구소가 디캠프를 떠나는 날 최 대표와 마주 앉아 잔소리를 했다. 하드웨어사업은 쉽지 않다, 끊임없이 후속 제품을 내놔야 한다, 삐끗하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의 추격을 따돌려야 하고 변덕스러운 소비자 취향도 끊임없이 파악해야 한다. 이런 식의 얘기였다.
돌이켜보면 디캠프가 이놈들연구소에 해준 게 별로 없다. 이 행사 참석해라, 저 행사 참석해라 불러내지 않은 정도가 나름의 배려였다. 실제로 그랬다. 국내외 고위인사가 디캠프를 방문할 때도 미리 귀띔해 이것저것 준비할 것을 요구하지 않았다. 이놈들연구소가 일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어느 스타트업이든 마찬가지다. 실탄(자금)이 떨어지기 전에 기반을 확실히 다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한다. 경진대회에서 우승했다고 성공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다. 선배 창업자들은 “여기저기 기웃거리지 말고 일에 몰두하라”고 조언하곤 한다. 디캠프를 떠난 이놈들연구소가 한눈팔지 않고, 시장에서 인정받기를 기대한다.
김광현 < 디캠프 센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