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머니 몸살난 호주 "중국에 자산 안팔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거침없는 '기업쇼핑' 경계령
전력회사·초대형 목장 등 올들어 대형 M&A 2건 퇴짜
중국 자본 밀려들면서 반감 커져…호주 부총리 "더이상 용인 안해"
전력회사·초대형 목장 등 올들어 대형 M&A 2건 퇴짜
중국 자본 밀려들면서 반감 커져…호주 부총리 "더이상 용인 안해"
바나비 조이스 호주 부총리(사진)가 중국계 자본의 공격적 ‘호주 자산 쇼핑’을 앞으로도 용인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올 들어 호주는 국익을 보호한다며 중국 국영기업과 국부펀드가 참여한 중국 자본의 호주 전력회사(오스그리드)와 10만㎢ 면적의 초대형 목장(S키드먼앤드코) 인수를 무산시켰다. 조이스 부총리는 연립정권 파트너인 국민당 대표로 지난 총선에서 맬컴 턴불 총리의 자유당 의석이 줄어들면서 정부 내 영향력이 커진 인물이다.
◆“중국에 땅 팔면 사회주의”
조이스 부총리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외국 정부 산하 투자기관의 호주 자산 인수를 무조건 막지는 않겠지만 훨씬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국 정부라고 에둘러 표현했지만 중국을 지칭하는 의미라는 게 FT의 설명이다. 호주 정부는 지난 4월 남한 면적만 한 땅을 보유한 대규모 목장 키드먼에 이어 8월에는 뉴사우스웨일스주의 배전사업체 오스그리드 장기(99년간) 임대에도 중국 자본 참여를 허용하지 않았다. 결국 키드먼 목장은 호주의 광산재벌 지나 라인하트가 사들였고, 오스그리드도 호주 대형 퇴직연금인 오스트레일리안슈퍼 컨소시엄에 넘겨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조이스 부총리는 사회주의까지 들먹이며 중국 자본에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자산은 정부가 아니라 민간이 보유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며 “(중국) 정부가 대규모로 토지 등을 사들인다면 (국유화가 특징인) 사회주의”라고 강조했다. 중국 국부펀드와 국영회사의 호주 자산 인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얘기다. 그는 이어 “만약 영국에서 키드먼이 보유한 정도의 땅을 외국에 팔겠다고 했다면 폭동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커지는 반중(反中) 감정도 영향
조이스 부총리는 중국 정부가 차별을 중단하라고 지속적으로 항의하는 것에 대해서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턴불 총리를 만나 “공정하고 투명하며 예측 가능한 투자환경을 조성해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조이스 부총리는 이와 관련해 “우리를 편견에 가득찼다거나 외국인 혐오병자라고 불러서는 곤란하다”며 “안 된다고 해야 할 특수한 상황이 있기 마련”이라고 일축했다.
호주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반발을 부르는 조치에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해 광물 등 호주의 대(對)중국 수출액은 903억달러로 2위인 일본의 두 배를 넘는다. 중국의 무역 보복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데도 호주 정부의 핵심 정치인이 반중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호주 경제가 25년 연속 성장하는 등 아직 주머니 사정이 괜찮기 때문이다. 호주 통계청에 따르면 2015~2016회계연도(지난 6월까지) 호주의 국내총생산(GDP)은 3.3% 증가했다.
중국계 정치 기부금이 밀려들면서 호주 내 중국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는 공포심도 작용한다. 호주의 무역진흥기관과 국방부 연구기관이 중국 당국의 지원을 받는 조직으로부터 해킹당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졌다. 또 중국인들이 호주 주택을 사재기해 집값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분석도 반중 감정을 부추겼다.
FT는 “국민당이 보수적인 성향이어서 외국 자본에 호의적이지 않은 데다 조이스 부총리는 농촌지역 지지기반이 강해 대규모 농장 매각에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왔다”고 보도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
◆“중국에 땅 팔면 사회주의”
조이스 부총리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외국 정부 산하 투자기관의 호주 자산 인수를 무조건 막지는 않겠지만 훨씬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국 정부라고 에둘러 표현했지만 중국을 지칭하는 의미라는 게 FT의 설명이다. 호주 정부는 지난 4월 남한 면적만 한 땅을 보유한 대규모 목장 키드먼에 이어 8월에는 뉴사우스웨일스주의 배전사업체 오스그리드 장기(99년간) 임대에도 중국 자본 참여를 허용하지 않았다. 결국 키드먼 목장은 호주의 광산재벌 지나 라인하트가 사들였고, 오스그리드도 호주 대형 퇴직연금인 오스트레일리안슈퍼 컨소시엄에 넘겨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조이스 부총리는 사회주의까지 들먹이며 중국 자본에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자산은 정부가 아니라 민간이 보유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며 “(중국) 정부가 대규모로 토지 등을 사들인다면 (국유화가 특징인) 사회주의”라고 강조했다. 중국 국부펀드와 국영회사의 호주 자산 인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얘기다. 그는 이어 “만약 영국에서 키드먼이 보유한 정도의 땅을 외국에 팔겠다고 했다면 폭동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커지는 반중(反中) 감정도 영향
조이스 부총리는 중국 정부가 차별을 중단하라고 지속적으로 항의하는 것에 대해서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턴불 총리를 만나 “공정하고 투명하며 예측 가능한 투자환경을 조성해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조이스 부총리는 이와 관련해 “우리를 편견에 가득찼다거나 외국인 혐오병자라고 불러서는 곤란하다”며 “안 된다고 해야 할 특수한 상황이 있기 마련”이라고 일축했다.
호주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반발을 부르는 조치에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해 광물 등 호주의 대(對)중국 수출액은 903억달러로 2위인 일본의 두 배를 넘는다. 중국의 무역 보복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데도 호주 정부의 핵심 정치인이 반중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호주 경제가 25년 연속 성장하는 등 아직 주머니 사정이 괜찮기 때문이다. 호주 통계청에 따르면 2015~2016회계연도(지난 6월까지) 호주의 국내총생산(GDP)은 3.3% 증가했다.
중국계 정치 기부금이 밀려들면서 호주 내 중국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는 공포심도 작용한다. 호주의 무역진흥기관과 국방부 연구기관이 중국 당국의 지원을 받는 조직으로부터 해킹당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졌다. 또 중국인들이 호주 주택을 사재기해 집값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분석도 반중 감정을 부추겼다.
FT는 “국민당이 보수적인 성향이어서 외국 자본에 호의적이지 않은 데다 조이스 부총리는 농촌지역 지지기반이 강해 대규모 농장 매각에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왔다”고 보도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