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때 '끼워팔기'로 오해
은행서 권유 잘 안해
판매 실적 지지부진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가계 대출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신용생명보험은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BNP파리바카디프생명과 메트라이프생명이 상품을 출시했다.
하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은행 중 이 상품을 판매하는 곳은 기업은행뿐이다. 제2금융권에선 신한저축은행, 현대저축은행, 신한캐피탈, 폭스바겐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 등에서만 팔고 있다.
은행 등 관계자들은 이 상품이 대출 꺾기로 간주되기 쉬워 판매를 꺼린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은행에서 대출일 전후 1개월 내 대출금의 1%를 초과하는 보험 판매 행위를 구속성 보험계약 체결 즉 ‘꺾기’로 보고 규제하고 있다.
메트라이프생명 관계자는 “은행시스템상 대출 후 한 달 동안은 대출자의 방카슈랑스(은행이 파는 보험) 가입 입력을 할 수 없게 돼 있다”며 “굳이 금융당국과 소비자에게 오해받을 일을 할 이유가 없다 보니 상품 판매가 부진하다”고 말했다.
신용생명보험 보험료가 월 1만원 이내로 싸다는 점도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보험료가 낮다 보니 은행이 받을 수 있는 수수료도 적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생명보험이나 저축성보험 모두 소비자에게 설명하는 시간은 똑같이 걸리는데 수수료는 저축성보험이 훨씬 높다”며 “같은 노력을 들여 신용생명보험을 팔 이유가 없다”고 했다.
■ 신용생명보험
대출받은 사람이 병들거나 사망할 경우 대출금을 은행 등 채권자에게 대신 갚아주는 보험상품.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