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진출한 수입 상용차 업체들. 사진 왼쪽부터 만, 볼보, 벤츠트럭
국내 진출한 수입 상용차 업체들. 사진 왼쪽부터 만, 볼보, 벤츠트럭
[ 김정훈 기자 ] 수입 상용차가 내년 2월부터 '반쪽 짜리' 판매량을 공개할 처지에 놓였다. 현행 법 규정으로는 덤프트럭이 화물차가 아닌 건설기계장비로 분류된 탓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수입 상용차 신규 등록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20t 이상 덤프트럭은 건설장비로 분류하던 기준을 바꾸지 않겠다고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통보, 업체들이 내년부터 시장에 공개할 판매량 집계가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볼보, 만(MAN), 다임러 벤츠, 스카니아, 이베코 등 5개사는 수입자동차협회에 올해 회원사 가입 절차를 마치고 내년 1월 판매대수부터 승용차와 마찬가지로 등록대수를 시장에 공개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2월부터 수입차협회를 통해 서비스를 하게 된다.

다만, 문제는 덤프트럭이 국토부의 자동차 등록이 아닌 건설장비로 분류돼 상용차 등록대수 집계에 빠지게 된 것. 건설장비(건설경제과)와 자동차(자동차운영보험과)는 담당부처가 달라 국토부가 그동안 건설장비로 분류하던 방식을 바꿀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수입차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협조하지 않으면서 현재로선 덤프를 제외한 판매량만 등록대수로 잡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업체들과 이 부분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수입 상용차 업체들은 2013년 공정거래위원회의 '가격 담합' 조사 이후 투명한 정보 공개 차원에서 수입차협회 회원사 자격으로 판매량을 외부에 알리기로 했다. 지난 1년간 차종별 분류 기준을 논의한 끝에 내년 1월 판매량부터 집계해 시장에 알리기로 한 것이다.

상용차 업체들은 덤프가 빠지면 매달 공개 예정인 판매대수가 쪼그라드는 상황이어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최근 건설 경기 호황에 덤프 수요가 대폭 늘면서 전체 판매의 70~80%는 덤프 비중이다. 반면 물류산업 침체로 컨테이너 박스를 운반하는 트랙터는 전년 대비 수요가 줄었다.

이에 따라 덤프트럭을 사겠다는 차주는 많은 데 비해 수입 업체마다 물량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수입 덤프 공급 부족에 현대트럭, 타타대우상용차 등 국산 회사들은 반사이익을 얻어 올해 판매량을 대폭 늘리고 있다.

수입트럭 업계 관계자는 "올들어 덤프는 공급이 수요를 못따라가고 있다"면서 "덤프가 빠진 판매량은 결국 투명한 정보 공개를 그르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정훈 한경닷컴 기자 lenn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