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강진, 동일본 지진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지질학회 심포지엄
한반도가 동쪽으로 이동
암석권·지각 크게 악화…중북부 단층 조사 필요
한반도가 동쪽으로 이동
암석권·지각 크게 악화…중북부 단층 조사 필요
지난 9월12일 경주에서 일어난 규모 5.1과 5.8의 지진은 동일본 지진 영향을 받아 한반도 지각이 급격히 약해지면서 발생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6일 강원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열린 대한지질학회 지진특별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 홍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 영향으로 한반도 전체가 동쪽으로 2~5㎝ 끌려가면서 단단하던 암석권과 지각이 크게 약화됐다”며 “한반도가 급격히 확장되면서 지진을 유발하는 힘(응력)이 풀렸는데도 지진이 더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큰 지진이 일어나면 인근 지역에선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한다. 주변 지역에 전달된 에너지가 시간이 지나면서 풀리는 과정이다. 과학자들은 한반도 역시 동일본 대지진 이후 2012~2013년 크고 작은 지진이 일어나면서 땅에 축적된 힘이 풀린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2014~2015년 예년 수준으로 돌아왔던 지진 빈도가 올 들어 높아졌다.
김우한 경상대 지질과학과 교수는 “한반도 지각에 어떤 변화가 있거나 응력 환경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경재복 한국교원대 교수는 “역사상 2000년 내 지진이 많이 일어난 곳은 경북 포항 북구 유계리와 이번 지진이 일어난 경주 내남면을 잇는 중북부, 중부지역에 집중돼 있다”며 “170㎞에 이르는 양산단층 중 이 지역에 대한 세심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경주 지진 이후 인근 지역에 힘이 가해지면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단층에서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우남칠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진 발생 1주일 후 401개 국가지하수관측망의 관측공에서 지하수위를 분석한 결과 46개소에서 지진 발생 전과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며 “6개 관측소는 지진 발생 며칠 전부터 지하수위가 급격히 올라가거나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우 교수는 “따라서 지하수의 비정상적 변동을 분석한다면 지진 영향을 받은 잠재 지진 위험지역을 쉽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6일 강원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열린 대한지질학회 지진특별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 홍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 영향으로 한반도 전체가 동쪽으로 2~5㎝ 끌려가면서 단단하던 암석권과 지각이 크게 약화됐다”며 “한반도가 급격히 확장되면서 지진을 유발하는 힘(응력)이 풀렸는데도 지진이 더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큰 지진이 일어나면 인근 지역에선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한다. 주변 지역에 전달된 에너지가 시간이 지나면서 풀리는 과정이다. 과학자들은 한반도 역시 동일본 대지진 이후 2012~2013년 크고 작은 지진이 일어나면서 땅에 축적된 힘이 풀린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2014~2015년 예년 수준으로 돌아왔던 지진 빈도가 올 들어 높아졌다.
김우한 경상대 지질과학과 교수는 “한반도 지각에 어떤 변화가 있거나 응력 환경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경재복 한국교원대 교수는 “역사상 2000년 내 지진이 많이 일어난 곳은 경북 포항 북구 유계리와 이번 지진이 일어난 경주 내남면을 잇는 중북부, 중부지역에 집중돼 있다”며 “170㎞에 이르는 양산단층 중 이 지역에 대한 세심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경주 지진 이후 인근 지역에 힘이 가해지면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단층에서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우남칠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진 발생 1주일 후 401개 국가지하수관측망의 관측공에서 지하수위를 분석한 결과 46개소에서 지진 발생 전과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며 “6개 관측소는 지진 발생 며칠 전부터 지하수위가 급격히 올라가거나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우 교수는 “따라서 지하수의 비정상적 변동을 분석한다면 지진 영향을 받은 잠재 지진 위험지역을 쉽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