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F)가 대한민국 경제계 지형도를 바꾸는 새로운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연기금과 보험회사 등에서 건네받은 풍부한 자금을 앞세워 국내 인수합병(M&A)시장에 나온 기업을 쓸어담고 있다.
대기업과 자본시장의 ‘고급 두뇌’가 속속 합류하면서 인수할 기업을 고르는 ‘투자 안목’과 인수한 기업의 체질을 바꾸는 ‘경영 노하우’도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PEF가 재계에서 삼성, 현대자동차에 버금가는 힘을 가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30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국내에서 매각된 129개 기업 중 32개가 PEF에 넘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M&A시장에서 PEF가 차지하는 비중(인수)은 24.8%로 사상 최고 수준이던 지난해(15.9%·189건 중 30건)보다 8.9%포인트 상승했다. 매물로 나온 기업 네 개 중 한 개꼴로 PEF가 인수한 셈이다.
진출 업종도 △커피점(IMM PE의 할리스F&B 인수) △상조회사(VIG파트너스의 좋은상조 인수) △웹툰(IMM PE의 레진코믹스 지분 투자) △결혼식장(유니슨캐피탈의 아펠가모 인수) △시멘트(한앤컴퍼니의 쌍용양회 인수) △기계(MBK파트너스의 두산공작기계 인수) △유통(MBK의 홈플러스 인수) 등 다양해지고 있다.
또 MBK 한앤컴퍼니 등 운용자산 기준 국내 10대 PEF 운용사가 인수하거나 지분 투자한 142개 기업의 총매출(2015년 말 기준)은 66조2190억원으로, 2004년 국내에 PEF가 도입된 지 12년 만에 재계 5위 롯데그룹(68조2830억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고용 인원은 11만6451명으로 삼성전자(국내 9만6898명)를 웃돈다.
PEF의 초고속 성장 배경에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이 있다. 연기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내고 있는 PEF에 대한 투자 규모를 대폭 늘린 덕분에 풍부한 ‘실탄’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이 가능했다는 얘기다.
지난해 국민연금의 국내 대체투자(PEF 등에 대한 투자) 수익률은 8.98%로 국내 주식(1.67%)이나 국내 채권(4.29%) 투자를 압도했다. 그 덕분에 국내 PEF들이 투자자로부터 위탁받은 운용자산은 2011년 7월 31조원에서 지난 6월 말 60조원으로 5년 만에 두 배가 됐다.
PEF가 투자한 기업의 실적도 두드러진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의 지난해 매출(1639조원)이 3년 전인 2012년(1776조원)보다 뒷걸음질쳤다. 같은 기간 상장기업의 영업이익 총액은 95조원에서 102조원으로 7%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10대 PEF 운용사가 인수하거나 지분 투자한 142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PEF 인수 직전 연도에 45조1426억원이던 매출은 평균 3년7개월의 보유기간을 거쳐 매각한 해(현재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작년 말 기준)에는 56조8571억원으로 26%가량 늘었다.
영업이익도 3조2925억원에서 4조2186억원으로 28% 증가해 상장사 평균의 네 배에 달했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과거 PEF는 ‘먹튀 자본’이란 비난을 받곤 했지만 지금은 명확한 전략과 경영 효율화를 통해 인수 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면서 자본시장과 실물시장의 건강한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발(發) '딥시크 포비아'로 인해 국내 주요 정부부처가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중국과 통상 마찰이 빚어질 경우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장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는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기획재정부는 차단을 검토하고 있다. 하나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등 금융권도 잇달아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했다. 딥시크 금지령이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는 건 정보 유출 가능성 때문이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무역 마찰시 암호화폐 투심 위축앞서 지난주 암호화폐 시장은 딥시크 쇼크로 한 차례 급락을 겪은 바 있다.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로 부각되면서 엔비디아 등 미 기술주가 폭락, 미 증시와 커플링(동조화)이 높아진 암호화폐 시장도 직격탄을 맞은 것. 다만 김민승 코빗리서치센터장은 "(지난주) 미 증시가 폭락한 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동결하고 일본이 금리를 2배로 인상한 상황에서 딥시크가 등장하며 발생한 복합적인 현상"이라며 "딥시크와 비트코인 간 직접적 연결성을 찾기는 어려운 만큼 (급락이) 딥시크에만 기인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정부 차원의 딥시크 접속 차단이 통상 분쟁으로 번질 경우다. 중국은 외국 기업의 자국 기술 차단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 2019년 미국의 화웨이 제재 당시 중국이 일부 미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상자산(암호화폐) 산업을 국가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한국도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할 때가 됐다”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일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이날 축사를 맡은 강 의원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는 시가총액으로 약 110조원에 달하며, 이용자 수가 800만 명에 달한다"면서 "다만 여전히 불공정 거래 행위가 있고, 이용자 피해 발생 예방과 구제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가상자산 관련 입법 속도…국내도 빠른 입법 요구돼"이어진 발제에서는 미국의 가상자산 산업 현황과 이와 관련된 미국의 목적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장은 "바이든 정부와 트럼프 정부는 달러 패권을 유지하겠다는 공통의 목적을 갖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 방식에서 트럼프 정부는 보다 과감한 전략을 택한 것이다. 트럼프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달러 패권을 강화시키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와 가치가 연동되는 가상자산) 시장 확장과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 역시 트럼프 정부의 달러 패권 강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지면 커질수록 자연스레 달러의 패권은 강화되는 구조"라며 "미국은 지난 4일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연방 정부 차원에서 발의하고 키워나가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이어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 자산화 역시 주 단위와 연방 단위에서 법안들이 빠르게 만들어
메리츠금융지주가 지난해 2조3000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올렸다.메리츠금융지주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2조3334억원으로 전년 대비 9.79% 증가했다고 6일 공시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46조5745억원으로 20.4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조1889억원으로 8.71% 증가했다.자회사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영업이익 1조548억원을 기록하며 증권사 영업이익 '1조 클럽'에 복귀했다. 메리츠증권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9.7% 증가한 1조548억원으로 집계됐다.같은 기간 매출액은 34조7850억원으로 전년 대비 26.7% 감소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8.0% 늘어난 6960억원으로 집계됐다. 자기자본 총계는 13.2% 늘어난 6조9041억원으로 7조원을 눈앞에 뒀다. 메리츠증권은 공시를 통해 "매출액 감소는 파생상품 평가 및 거래이익 감소 영향"이라고 설명했다.자회사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1조713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9.3% 증가한 수준이다. 이 기간 매출액은 6.6% 증가한 11조6532억원을, 영업이익은 9% 늘어난 2조2973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메리츠화재는 공시를 통해 "보험영업이익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메리츠금융은 이날 이사회에서 보통주 1주당 1350원의 현금배당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2400억원이다. 메리츠금융은 오는 19일 국내외 주주와 투자 관계자를 대상으로 지난해 경영실적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사항 등에 대한 컨퍼런스콜(전화회의)을 진행할 예정이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