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불똥' 튄 서울대 이사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학외이사 선임에 청와대 입김 의혹…외풍에 휘둘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여파로 서울대도 시끄럽다. 서울대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이해하기 힘든 ‘낙하산 인사’가 수두룩하다는 비판이 교수 사회에서 일고 있다. 이사회는 서울대 주요 정책의 최종 결정권뿐 아니라 총장 선출권을 가진다.
2년 전 총장 선출 과정도 다시 회자되고 있다. 2014년 총장 임명 과정에서 2순위였던 성낙인 현 총장이 낙점됐다. 서울대 교수들이 뽑은 1순위 후보였던 오세정 전 자연대 교수(국민의당 국회의원)는 별다른 이유 없이 탈락했다.
서울대 이사회는 학외이사 8명, 학내 이사 7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학외이사인 기획재정부·교육부 차관과 학내이사인 서울대 총장과 부총장 2명 등 5명은 당연직 이사이고, 10명(학외이사 6명, 학내이사 4명)은 비당연직 이사로 현직 이사 7명으로 구성된 이사후보초빙위원회가 선출한다.
현 이사회는 2011년 법인 서울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2014년 말 선임됐다. 교수들은 학외이사 중 전문성이나 비전 없이 비선 실세나 청와대의 입김으로 들어온 인사가 상당하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박명진 전 서울대 명예교수는 지난해 6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어 최근 최씨 사건과 관련해 문화예술계의 사퇴 요구를 받고 있다. 그는 이사 선출 당시 서울대 명예교수로 내부인사에 속해 학외이사 후보가 될 수 없었지만 교수직을 사퇴하면서까지 이사회에 들어가 외압 의혹이 일었다.
나은영 서강대 교수와 선우명호 한양대 교수 등 사립대 현직 교수들이 서울대 이사진으로 적절하냐는 지적도 많다. 나 교수는 ‘친박(친박근혜)’으로 분류되고, 선우 교수는 현 정부에서 스마트자동차추진단장을 맡았다. 서울대 교수들은 “다른 대학 현직 교수들이 이사가 돼 서울대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대학의 자율성을 확보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법인 서울대 이사회가 정권의 낙하산들로 채워져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2년 전 총장 선출 과정도 다시 회자되고 있다. 2014년 총장 임명 과정에서 2순위였던 성낙인 현 총장이 낙점됐다. 서울대 교수들이 뽑은 1순위 후보였던 오세정 전 자연대 교수(국민의당 국회의원)는 별다른 이유 없이 탈락했다.
서울대 이사회는 학외이사 8명, 학내 이사 7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학외이사인 기획재정부·교육부 차관과 학내이사인 서울대 총장과 부총장 2명 등 5명은 당연직 이사이고, 10명(학외이사 6명, 학내이사 4명)은 비당연직 이사로 현직 이사 7명으로 구성된 이사후보초빙위원회가 선출한다.
현 이사회는 2011년 법인 서울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2014년 말 선임됐다. 교수들은 학외이사 중 전문성이나 비전 없이 비선 실세나 청와대의 입김으로 들어온 인사가 상당하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박명진 전 서울대 명예교수는 지난해 6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어 최근 최씨 사건과 관련해 문화예술계의 사퇴 요구를 받고 있다. 그는 이사 선출 당시 서울대 명예교수로 내부인사에 속해 학외이사 후보가 될 수 없었지만 교수직을 사퇴하면서까지 이사회에 들어가 외압 의혹이 일었다.
나은영 서강대 교수와 선우명호 한양대 교수 등 사립대 현직 교수들이 서울대 이사진으로 적절하냐는 지적도 많다. 나 교수는 ‘친박(친박근혜)’으로 분류되고, 선우 교수는 현 정부에서 스마트자동차추진단장을 맡았다. 서울대 교수들은 “다른 대학 현직 교수들이 이사가 돼 서울대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대학의 자율성을 확보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법인 서울대 이사회가 정권의 낙하산들로 채워져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