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5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8일(현지시간)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을 꺾고 백악관에 입성하는 '대이변'이 일어날 전망이다.
부동산 재벌이자 워싱턴 정치와 무관한 '아웃사이더'인 트럼프가 예상을 깨고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플로리다와 오하이오 주에서 이긴 후 선거인단 과반수인 270명까지 3명 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다.
전날까지 나온 각종 여론조사 결과 클린턴은 트럼프에 1∼6%포인트 앞섰고,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를 비롯해 주요 경합지에서도 트럼프와의 지지율 격차를 벌리며 상승세를 탄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6일 기준으로 클린턴의 당선 확률을 84%로 점쳤고, 워싱턴포스트(WP)와 CNN 방송 등 다른 주요 언론도 클린턴의 승리를 전망했다.
그러나 개표가 시작되는 순간 이런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트럼프는 처음 개표가 시작된 강세지역 인디애나와 켄터키는 물론이고 최대 격전지 플로리다를 포함해 노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에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역대로 1960년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는 이 지역 승자가 모두 백악관의 주인이 돼 '대선 풍향계'로 통하는 오하이오에서도 초반부터 5% 안팎의 득표율 차로 앞서갔다.
승패의 열쇠를 쥔 이들 동부지역 경합주에서 트럼프가 우세를 보이면서 미국판 '브렉시트'(B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기 시작했다.
개표가 10%, 20% 진행되면서 플로리다와 오하이오에서 클린턴이 역전하면서 대세가 바뀌는듯했으나, 또다시 트럼프가 앞서나가는 등 시시각각 순위가 바뀌는 초접전 양상이 펼쳐졌다.
그러나 개표 중후반으로 가면서 트럼프는 소폭의 우위를 지켜 결국 대부분 경합주에서 승리를 낚았다.
플로리다의 경우 87% 개표 시점까지 두 사람이 똑같이 48.5%의 득표율을 보였으나 이후 1%포인트 이상 벌어진 차이는 끝내 좁혀지지 않았고 트럼프는 97% 개표 상황에서 49.1%를 기록하며 47.7%를 얻은 클린턴을 누르고 승리를 확정 지었다.
트럼프는 같은 방식으로 오하이오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도 연이어 승리를 거머쥐었다.
클린턴은 이들 3개 지역과 펜실베이니아, 버지니아를 포함한 5대 승부처 가운데 현재까지 버지니아 한 곳만 건졌다.
펜실베이니아주 역시 96% 개표 상황에서 48.6%대 47.8%로 트럼프가 앞서고 있다.
클린턴이 앞마당이나 다름없는 곳이자 55명의 선거인단이 걸린 대형주 캘리포니아에서 승리하면서 막판 추격전을 벌이고 있으나 막판 역전극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트럼프카 지금까지 확보한 267명이다. 전체 538명 가운데 270명을 확보하는 쪽이 승리한다.
트럼프가 이처럼 대선전을 하는 데는 선거 막판에 대선판을 강타한 미 연방수사국(FBI)의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가 클린턴의 발목을 잡은 데다가 그의 열성 지지층, 특히 '러스트벨트'(낙후된 중서부 제조업지대)의 백인 중산층 노동자들이 막판 대결집을 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각종 여론조사는 물론 외부에 자신의 트럼프 지지 의사를 대놓고 드러내지 않은 '샤이 트럼프', 이른바 숨은 표가 대거 투표장으로 나왔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트럼피즘'으로 집약된 성난 유권자들의 변화와 개혁 열망이 트럼프 지지표로 대거 이어진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 CNN 방송의 출구조사 결과 대통령 선택의 기준과 관련해 응답 유권자의 38%가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인물인가를 보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풍부한 경험'과 '판단력'은 각각 22%, '나에 대한 관심'은 15%로 각각 나왔다.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데다 중국 정부가 언제든 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세계 각국이 잇따라 접속차단 등 금지 조치에 나선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PC는 물론 로봇과 전기차까지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섰다.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자동차 제조업체 등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탑재에 나섰다.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최근 웨이보(중국 SNS)를 통해 자사 샤오톈 AI 어시스턴트와 딥시크 AI 모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문장 독해와 코드 생성, 수학, 추론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레노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샤오톈 서비스를 태블릿과 스마트폰 등 다른 제품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UB테크는 자사 로봇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이 복잡한 현실세계 환경에서 지시를 이해하도록 돕고 공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중국 지리자동차는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딥시크의 RI 추론 모델을 자사가 개발한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고 있다.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군에서 딥시크 도입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비용상 이점과 오픈소스라는 접근 방식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한편 국내 주요 정부부처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했다.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종이 빨대(사용)에 대한 말도 안 되는 바이든의 압박을 끝내기 위해 다음 주에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종이 빨대 사용 권장에 대해 "작동하지 않고 있다"면서 "플라스틱으로 돌아가자"고 강조했다.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때도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한 바 있다. 2019년에는 빨간색 일반 빨대에 트럼프(TRUMP) 로고를 새긴 뒤 이를 10개에 15달러에 판매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당시 캠프는 일주일 만에 46만 달러(약 6억7000만원)를 모금하는 등의 성과도 거뒀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지난달 세계 식량 가격지수가 전달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8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 식량 가격지수가 124.9로 전달보다 1.6% 하락했다고 밝혔다.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를 뜻한다. 지난해 11월 127.7까지 올랐다가 작년 12월 127.0, 지난달 124.9로 두 달 연속 하락했다.품목군별로 보면 설탕, 유지류, 육류 가격은 내렸고 유제품, 곡물 가격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 가격지수는 전달보다 6.8% 하락한 111.2다. 브라질에서 설탕 생산 전망이 개선됐고, 인도 정부가 2023년 10월 이후 제한했던 설탕 수출을 재개하기로 결정하면서 값이 내렸다.유지류 가격지수는 5.6% 내린 153.0이다. 팜유, 유채유 가격은 모두 하락했다. 대두유와 해바라기유 가격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됐다.육류 가격지수는 1.4% 하락한 117.7이다. 양고기는 수요 감소로 가격이 내렸다. 돼지고기는 독일에서 발병한 구제역으로 인한 수입 금지 조치와 공급 과잉 상태가 발생하면서 값이 하락했다. 가금류는 공급 원활로 가격이 내렸다. 반면 소고기는 수입 수요가 이어지면서 가격이 상승했다.유제품 가격지수는 142.9로, 2.4% 상승했다. 세계적으로 수입 수요가 증가하면서 치즈 가격이 상승했지만, 버터와 전지분유 가격은 하락했다.곡물 가격지수는 0.3% 하락한 111.7이다. 옥수수 가격은 공급 부족과 생산·재고 예상량이 하향 조정되며 값이 올랐다. 밀은 수출 실적 부진으로 가격이 내렸다. 쌀은 수출국 간 경쟁 심화로 값이 하락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