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에 신재생에너지 위기? "실제 영향 미미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급락했다. 트럼프 당선자가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화석에너지 생산 증가 등의 공약을 내세우는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당선자 개인의 입장과는 별개로 에너지 정책의 흐름이 신재생에너지를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종목인 신성솔라에너지(-14.49%) OCI(-15.96%) 동국S&C(-25.64%) 한화케미칼(-12.14%) 등은 트럼프 후보의 당선 가능성 확대에 급락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추진했던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패배하고 화석에너지 확대를 주장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서 신재생에너지주가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당선자는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와 클린 파워플랜 실행 중단, 석유·석탄·천연가스 등 전통 에너지의 생산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자의 공약이 그대로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파리기후협약의 경우 탈퇴 절차가 참가국들의 동의에 3년, 그 후 실질적인 탈퇴실효에 1년의 기간을 명문화하고 있어 트럼프의 임기 내 탈퇴가 불가능하다.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 공급 증가도 쉽지 않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에너지정책은 '화석연료 생산 증가로 미국의 에너지자립도를 높이는 것'인데 지난 2년간 미국 1,2위 석탄업체인 피바디에너지와 아치콜이 모두 파산보호신청에 들어갔다"며 "보조금 정책을 펼칠 수는 있겠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 석탄 가격 하락 등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도 미미할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트럼프 당선자의 성향에 따른 심리적 영향은 있을 수 있지만 실제 기업가치에는 영향을 미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한 연구원은 "태양광투자세액공제(ITC)와 풍력에너지의 세금감면제도가 양당 합의로 2020년까지 연장돼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되돌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용 측면에서도 태양광을 무시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CNN머니에 따르면 지난해 태양광 산업 근로자는 20만9000명으로 2010년 9만3000명 대비 배 이상 증가, 정유·가솔린 근로자를 넘어섰다. 태양광 산업이 고용 창출과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난 상황에서 이를 배척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트럼프의 당선에도 이미 수립된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손대기 어렵다"며 "만약 트럼프가 연임에 성공한다면 2020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전망은 부정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
하지만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당선자 개인의 입장과는 별개로 에너지 정책의 흐름이 신재생에너지를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종목인 신성솔라에너지(-14.49%) OCI(-15.96%) 동국S&C(-25.64%) 한화케미칼(-12.14%) 등은 트럼프 후보의 당선 가능성 확대에 급락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추진했던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패배하고 화석에너지 확대를 주장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서 신재생에너지주가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당선자는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와 클린 파워플랜 실행 중단, 석유·석탄·천연가스 등 전통 에너지의 생산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자의 공약이 그대로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파리기후협약의 경우 탈퇴 절차가 참가국들의 동의에 3년, 그 후 실질적인 탈퇴실효에 1년의 기간을 명문화하고 있어 트럼프의 임기 내 탈퇴가 불가능하다.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 공급 증가도 쉽지 않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에너지정책은 '화석연료 생산 증가로 미국의 에너지자립도를 높이는 것'인데 지난 2년간 미국 1,2위 석탄업체인 피바디에너지와 아치콜이 모두 파산보호신청에 들어갔다"며 "보조금 정책을 펼칠 수는 있겠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 석탄 가격 하락 등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도 미미할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트럼프 당선자의 성향에 따른 심리적 영향은 있을 수 있지만 실제 기업가치에는 영향을 미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한 연구원은 "태양광투자세액공제(ITC)와 풍력에너지의 세금감면제도가 양당 합의로 2020년까지 연장돼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되돌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용 측면에서도 태양광을 무시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CNN머니에 따르면 지난해 태양광 산업 근로자는 20만9000명으로 2010년 9만3000명 대비 배 이상 증가, 정유·가솔린 근로자를 넘어섰다. 태양광 산업이 고용 창출과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난 상황에서 이를 배척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트럼프의 당선에도 이미 수립된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손대기 어렵다"며 "만약 트럼프가 연임에 성공한다면 2020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전망은 부정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