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수도권 아파트 분양물량이 확 줄어들 전망이다.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1주일 만에 6000여가구가 공급을 미루기로 했다.
10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 수도권에서 23곳, 1만8453가구의 아파트가 분양할 예정이다. 이달 초 조사 당시 예정된 물량은 35곳, 2만4642가구였지만 1주일 사이 6189가구가 줄었다. 서울에서 10곳(4491가구), 경기 지역에서도 2개 단지(1698가구)가 공급을 연기한다.
분양보증을 담당하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규제 대상 지역 아파트의 보증심사를 크게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 안팎에선 HUG가 지난 3일부터 대상 지역에 적용된 전매제한뿐 아니라 오는 15일 주택공급규칙 개정 이후 시차를 두고 시행되는 재당첨 제한과 1순위 요건 강화 조치 등 규제도 함께 적용받도록 하기 위해 분양단지의 분양보증서 발급을 늦추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재건축, 재개발 단지는 바뀐 규정 때문에 잇따라 물량 조절에 나섰다. 11·3 대책 이후 정비사업지는 철거를 100% 완료해야 일반분양 보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 서울 ‘e편한세상 염창’(499가구) ‘꿈의숲 효성해링턴 플레이스’(1028가구) ‘공덕 SK 리더스 뷰’(472가구)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1531가구) ‘연희파크 푸르지오’(396가구) 등은 다음달이나 내년으로 분양이 미뤄졌다.
이달 서울에서는 5곳(1387가구)이 일반분양을 앞두고 있다. GS건설이 양천구 신정동에서 ‘목동파크자이’를, 삼성물산이 서초구 잠원동에서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를 분양한다는 계획이지만 HUG의 분양보증 승인이 발급돼야 가능할 전망이다.
경기 지역에서는 14개 단지(1만4049가구)가 공급된다. 시흥시 ‘시흥 센트럴 푸르지오’ ‘시흥 목감 호반베르디움 5차’, 의왕시 ‘포일 센트럴 푸르지오’, 화성시 ‘동탄2신도시 중흥S클래스 에코밸리’ 등이 나온다. 인천에서는 연수구에서 GS건설이 ‘연수 파크자이’를 준비 중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 북부 구간(파주 운정중앙역~서울역)이 개통한 지 한 달가량 지났지만 경기 파주시 운정중앙역 인근 부동산 시장은 거래가 뜸하다. 전반적인 수요 위축 속에 운정3지구 입주와 고양 킨텍스역 개발이 이어져야 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파주 목동동 ‘힐스테이트운정’ 전용면적 60㎡는 지난달 5억29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단지는 운정중앙역 인근 대장 아파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8월 5억4500만원에 손바뀜했다.역 근처 다른 아파트값도 변동이 적다.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4㎡는 지난달 6억4900만원에 매매됐다. 같은 동의 직전 거래가는 6억7000만원이었다. GTX 개통 이후 오히려 집값이 내린 것이다. 동패동 ‘운정신도시아이파크’ 전용 59㎡는 지난해 5억9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지난달 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개통 이후 호가가 올라가고 있다. 이 아파트의 같은 면적 호가가 6억~6억4000만원대에 형성돼 있다. 지난해부터 GTX 개통 기대가 집값에 반영된 데다 대출 규제 등으로 거래가 끊겨 집값이 단기간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표찬 싸부원 대표는 “GTX-A노선 개통으로 파주 신축 아파트가 이미 3.3㎡당 2000만~2500만원 올라갔다”며 “철도는 개통 이후보다는 주로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실시계획 승인 때 호재로 작용하는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운정중앙역 일대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동안 준공된 아파트는 대부분 역과 500m 이상 떨어져 있지만, 공사 중인 ‘운정3제일풍
봄 이사철을 앞두고 새로운 전셋집을 알아보는 세입자가 적지 않다. 2년 전 계약할 때와 비교해 전셋값이 껑충 뛰었을 뿐만 아니라 전세대출 금리도 만만치 않아 전셋집 고민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서울 동대문구, 성북구 등 상반기 대단지 입주가 계획돼 있는 지역을 눈여겨보라고 조언한다. 일시에 공급이 쏟아지는 만큼 전셋값 하락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공급 부족 여파로 중장기적으로 전셋값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파크포레온 전셋값, 8억원대로 내려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 동대문구 아파트 전셋값은 누적 0.25%(지난 3일 기준) 하락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낙폭이 가장 컸다. 연초부터 ‘입주장’이 펼쳐진 영향이 크다. 이문동에서 3069가구 규모의 ‘래미안라그란데’가 지난달 집들이를 시작했다. 오는 6월엔 인근에 있는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1806가구)가 입주를 개시한다. 공급 과잉 속에 호가를 하향 조정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예컨대 래미안라그란데 전용면적 84㎡(23층) 집주인은 최근 전세 매물 가격을 기존 6억5000만원에서 6억1000만원으로 4000만원 내렸다. 성동구(-0.19%)와 구로구(-0.14%), 관악·강동구(-0.09%) 등도 새해 들어 전셋값이 많이 빠졌다.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1차’(825가구·성동구) ,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관악구) 등에서 최근 입주 물량이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동구에선 작년 11월 1만2032가구 규모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이 집들이한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경매 시장에서 서울 오피스텔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과 낙찰률(경매 진행 건수 대비 매각 건수 비율)이 동반 상승했다. 월세가 오르는 등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오피스텔을 저가 매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전세 사기와 고금리 여파에 침체를 겪던 오피스텔 시장이 바닥을 다졌다는 평가도 나온다.9일 경·공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낙찰가율은 83.5%로, 지난해 12월(82.7%)보다 0.8%포인트 올랐다. 한때 70%대(작년 11월 72.9%)까지 주저앉았지만, 올해 들어 조금씩 오르는 추세다.낙찰률도 전달(20.5%)보다 3.4%포인트 상승한 23.9%로 집계됐다. 역대 최저 수준이었던 1년 전 9.5%(작년 2월)와 비교하면 분위기가 나아지고 있다.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이 직접 오피스텔을 매수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서울 금천구 가산동 A 오피스텔 전용 17㎡짜리는 지난달 14일 낙찰가율 117.9%인 1억3200만원에 매각됐다. 임차인이 직접 낙찰받은 이른바 ‘셀프 낙찰’ 사례다. 보증금(1억3200만원)으로 오피스텔을 매수한 셈이다. 마포구 상암동 B 오피스텔(전용 24㎡)도 감정가(1억2300만원)보다 높은 1억4000여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오피스텔도 보증금 1억4000만원에 살던 임차인이 직접 낙찰받았다.저가 매수를 노린 입찰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서초구 신원동의 C 오피스텔 전용 21㎡는 지난달 2차 매각일에 4명의 응찰자가 참여했다. 한 차례 유찰로 최저입찰가가 감정가(1억7500만원)보다 20% 할인되자 저가 매수세가 몰렸다. 감정가의 88% 수준인 1억5500여만원에 매각됐다. 영등포구 영등포동 D 오피스텔(전용 20㎡)도 지난달 14일 2차 매각일에 응찰자 3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