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파에 휘둘리는 민주당…추미애 대표 제안 영수회담 14시간 만에 뒤집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대통령-추미애 대표 담판 무산
추미애 대표, 당내 반발에 막혀 입장 번복
"민심 거스르고 야당 공조 깨는 것" 십자포화
추미애 "박 대통령 퇴진으로 총의 모아져 철회"
추미애 대표, 당내 반발에 막혀 입장 번복
"민심 거스르고 야당 공조 깨는 것" 십자포화
추미애 "박 대통령 퇴진으로 총의 모아져 철회"
박근혜 대통령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회동이 민주당 내 강경파의 반대에 막혀 무산됐다. 14시간 만이다. 추 대표는 “촛불민심을 전하고 수습책을 찾겠다”며 박 대통령과의 회동을 추진했지만 당내 강경파의 벽은 높았다. 민주당은 박 대통령과 만나 정확한 의사조차 확인하지 않은 채 대통령 퇴진 투쟁에 나서게 됐다. “수권정당의 자세가 아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 대표는 14일 오전 한광옥 비서실장을 통해 박 대통령에게 단독 회담을 제의했다. 추 대표는 지난주 박 대통령의 영수회담 제의를 거부한 데 이어 한 실장의 예방까지 피했다. 촛불민심은 ‘박 대통령의 즉각 퇴진’이다. 민주당은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국민의당, 정의당과 함께 대통령 퇴진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 대표의 고민은 여기서 출발했다. 박 대통령의 대화를 거부한 채 퇴진 투쟁에 나서는 것은 명분이 약하다는 생각을 했음 직하다. 적어도 박 대통령을 만나 민심을 전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추 대표가 전격적으로 박 대통령과의 회동을 추진한 것은 그런 맥락이다. 애초 퇴진에 거부감이 강한 박 대통령과 만나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추 대표가 박 대통령과의 단독 회동을 제의한 것은 강경투쟁에 나서기 위한 명분 쌓기용 성격이 강했다. 박 대통령과 만나 퇴진 의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고 강경투쟁에 나서겠다는 생각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마저도 강경파의 벽에 부닥쳐 무산된 것이다. “촛불민심과 거리가 멀다”는 강경파의 반발을 넘어서지 못했다. 의원들은 “영수회담 제의가 부적절하다.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 의원은 “회담을 취소하면 공당의 체면이 말이 아니다”고 했지만 상당수 의원은 “민심을 거스르고 야권 공조를 깨버리는 것”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당내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는 “회동 사실을 통보받은 적 없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결국 당내 최대 계보인 문재인계가 반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당론으로 정했다. 국회 추천 총리에게 전권을 이양한 뒤 2선 후퇴 하라는 기존 입장에서 요구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민주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민조사위원회 이석현 위원장은 “퇴진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실상 하야를 요구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마음은 퇴진·하야였는데 우리가 2선 후퇴를 너무 오래 붙든 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하야하라는 민심이 박 대통령에게 전달되지 않았다고 생각해 이를 분명히 알려주고 싶었다”며 “의원 총의와 시민사회 원로들의 뜻에 따라 철회를 결정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대표는 “의총에서 당론으로 박 대통령 퇴진이라는 총의가 모였고, 이미 그 의사가 밝혀진 만큼 회담은 철회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줬다”며 “그런 뜻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추 대표가 이미 합의한 박 대통령과의 회담을 일방적으로 번복하면서 제1야당 대표로서의 책임론이 불거질 전망이다. 당장 “공당인 제1야당이 대통령과의 회동을 약속했다 취소한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야당 관계자는 “대통령을 만나 민심을 전달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임현우/은정진 기자 tardis@hankyung.com
추 대표는 14일 오전 한광옥 비서실장을 통해 박 대통령에게 단독 회담을 제의했다. 추 대표는 지난주 박 대통령의 영수회담 제의를 거부한 데 이어 한 실장의 예방까지 피했다. 촛불민심은 ‘박 대통령의 즉각 퇴진’이다. 민주당은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국민의당, 정의당과 함께 대통령 퇴진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 대표의 고민은 여기서 출발했다. 박 대통령의 대화를 거부한 채 퇴진 투쟁에 나서는 것은 명분이 약하다는 생각을 했음 직하다. 적어도 박 대통령을 만나 민심을 전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추 대표가 전격적으로 박 대통령과의 회동을 추진한 것은 그런 맥락이다. 애초 퇴진에 거부감이 강한 박 대통령과 만나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추 대표가 박 대통령과의 단독 회동을 제의한 것은 강경투쟁에 나서기 위한 명분 쌓기용 성격이 강했다. 박 대통령과 만나 퇴진 의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고 강경투쟁에 나서겠다는 생각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마저도 강경파의 벽에 부닥쳐 무산된 것이다. “촛불민심과 거리가 멀다”는 강경파의 반발을 넘어서지 못했다. 의원들은 “영수회담 제의가 부적절하다.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 의원은 “회담을 취소하면 공당의 체면이 말이 아니다”고 했지만 상당수 의원은 “민심을 거스르고 야권 공조를 깨버리는 것”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당내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는 “회동 사실을 통보받은 적 없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결국 당내 최대 계보인 문재인계가 반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당론으로 정했다. 국회 추천 총리에게 전권을 이양한 뒤 2선 후퇴 하라는 기존 입장에서 요구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민주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민조사위원회 이석현 위원장은 “퇴진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실상 하야를 요구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마음은 퇴진·하야였는데 우리가 2선 후퇴를 너무 오래 붙든 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하야하라는 민심이 박 대통령에게 전달되지 않았다고 생각해 이를 분명히 알려주고 싶었다”며 “의원 총의와 시민사회 원로들의 뜻에 따라 철회를 결정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대표는 “의총에서 당론으로 박 대통령 퇴진이라는 총의가 모였고, 이미 그 의사가 밝혀진 만큼 회담은 철회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줬다”며 “그런 뜻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추 대표가 이미 합의한 박 대통령과의 회담을 일방적으로 번복하면서 제1야당 대표로서의 책임론이 불거질 전망이다. 당장 “공당인 제1야당이 대통령과의 회동을 약속했다 취소한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야당 관계자는 “대통령을 만나 민심을 전달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임현우/은정진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