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은행, 임원 대폭 줄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EB하나은행 중복 조직 절반으로 줄인다
내년 영업점 40여곳 축소 방침
은행권 연말 '인사 태풍' 예고
내년 영업점 40여곳 축소 방침
은행권 연말 '인사 태풍' 예고
KEB하나은행이 연말 인사에서 본점 조직 통폐합과 함께 본부장급 이상 임원을 20%가량 줄이거나 교체하기로 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핀테크(금융+기술)와 모바일 금융이 빠르게 확산하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신한·국민·우리·농협 등 다른 대형 은행의 부행장급 이상 임원 70%가량이 연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은행권에 ‘인사 태풍’이 몰아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은 다음달 말 정기 임원 인사에서 지역본부장급 이상 임원 보직 63개 가운데 20% 정도인 10여개를 줄이거나 교체한다.
경영기획, 경영지원, 영업지원 등으로 쪼개져 있는 본점의 15개 그룹 단위 조직은 절반으로 축소할 계획이다. 영업점도 올해 90여개를 통폐합한 데 이어 내년에 40여개를 더 줄일 방침이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어려운 경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옛 하나·외환은행 통합에 따른 군살을 빼고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이 본부 조직 통폐합과 함께 임원을 줄이기로 한 데는 내년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 ‘트럼프노믹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로 국내외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데다 저성장·저금리 흐름에 기업 구조조정까지 겹치면서 수익성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핀테크(금융+기술)가 송금 등 은행의 전통적인 업무 영역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은행들은 전통적인 점포 영업 대신 인터넷·모바일 등 비(非)대면 영업채널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KEB하나은행 역시 빠르게 영업점을 줄이고 있다. 지난 6월 옛 하나·외환은행 전산 통합을 마무리한 뒤 중복 영업점 위주로 90여곳을 통폐합했다. 내년에도 최소 40여개 영업점을 정리할 방침이다. 15개 그룹, 17개 본부, 72개 부서로 구성된 본점 조직도 슬림화한다. 영업지원, 리테일(소매)지원 등 비슷한 업무를 나눠 가진 조직을 합쳐 15개 그룹을 절반가량으로 줄일 계획이다.
또 여신, 자산관리, 자금 등 업무 위주로 나눈 본부와 부서 조직도 철저하게 이용자 관점에서 재정비하기로 했다.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모바일 및 디지털 뱅킹과 소비자를 직접 찾아가는 아웃바운드 영업채널, 글로벌 업무 조직은 강화한다는 게 KEB하나은행의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본점 조직 통폐합과 영업점 축소에 따라 지역본부장을 포함한 전체 임원을 지금보다 20%가량 줄이거나 교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원 평가 방식도 확 바꾼다. 대다수 은행의 임원 인사고과는 영업·업무 성과를 반영한 핵심성과지표(KPI)가 60~70%가량 작용하고 나머지는 최고경영자(CEO)의 정성평가를 반영한다. KEB하나은행은 올 연말 임원 인사부터 영업·업무 성과 비중을 30~40%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영업 현장과의 소통, 다양한 아이디어 및 방향 제시 등 창의적 리더십 항목을 30%씩 배정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 은행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조직원에게 끊임없이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가 필요하다는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KEB하나은행은 7월 은행권 최초로 금융상품 판매 등 개인 실적보다 고객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 직원을 우선 승진시키는 발탁 인사를 해 새로운 인사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은 다음달 말 정기 임원 인사에서 지역본부장급 이상 임원 보직 63개 가운데 20% 정도인 10여개를 줄이거나 교체한다.
경영기획, 경영지원, 영업지원 등으로 쪼개져 있는 본점의 15개 그룹 단위 조직은 절반으로 축소할 계획이다. 영업점도 올해 90여개를 통폐합한 데 이어 내년에 40여개를 더 줄일 방침이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어려운 경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옛 하나·외환은행 통합에 따른 군살을 빼고 경쟁력 있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이 본부 조직 통폐합과 함께 임원을 줄이기로 한 데는 내년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 ‘트럼프노믹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로 국내외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데다 저성장·저금리 흐름에 기업 구조조정까지 겹치면서 수익성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핀테크(금융+기술)가 송금 등 은행의 전통적인 업무 영역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은행들은 전통적인 점포 영업 대신 인터넷·모바일 등 비(非)대면 영업채널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KEB하나은행 역시 빠르게 영업점을 줄이고 있다. 지난 6월 옛 하나·외환은행 전산 통합을 마무리한 뒤 중복 영업점 위주로 90여곳을 통폐합했다. 내년에도 최소 40여개 영업점을 정리할 방침이다. 15개 그룹, 17개 본부, 72개 부서로 구성된 본점 조직도 슬림화한다. 영업지원, 리테일(소매)지원 등 비슷한 업무를 나눠 가진 조직을 합쳐 15개 그룹을 절반가량으로 줄일 계획이다.
또 여신, 자산관리, 자금 등 업무 위주로 나눈 본부와 부서 조직도 철저하게 이용자 관점에서 재정비하기로 했다.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모바일 및 디지털 뱅킹과 소비자를 직접 찾아가는 아웃바운드 영업채널, 글로벌 업무 조직은 강화한다는 게 KEB하나은행의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본점 조직 통폐합과 영업점 축소에 따라 지역본부장을 포함한 전체 임원을 지금보다 20%가량 줄이거나 교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원 평가 방식도 확 바꾼다. 대다수 은행의 임원 인사고과는 영업·업무 성과를 반영한 핵심성과지표(KPI)가 60~70%가량 작용하고 나머지는 최고경영자(CEO)의 정성평가를 반영한다. KEB하나은행은 올 연말 임원 인사부터 영업·업무 성과 비중을 30~40%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영업 현장과의 소통, 다양한 아이디어 및 방향 제시 등 창의적 리더십 항목을 30%씩 배정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 은행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조직원에게 끊임없이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가 필요하다는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KEB하나은행은 7월 은행권 최초로 금융상품 판매 등 개인 실적보다 고객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 직원을 우선 승진시키는 발탁 인사를 해 새로운 인사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