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중국 국유기업에는 미국 기업 팔지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를 경계하는 사례가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는 가운데 미국의 정부기구가 자국 기업을 중국 국유기업에 매각해선 안된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중국에 대한 보호무역 관점을 유지하고 있어 정책으로 채택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CESRC)는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중국이 미국 기업을 대거 인수하면 국가안보가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중국 국유기업이 미국 회사를 인수, 통제하게 되면 기술·정보·시장지배력을 갖게 돼 미국의 안보를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조사기관인 로디엄 그룹에 따르면 중국 기업의 미국 기업 인수 및 직접 투자금액을 합하면 180억달러(약 21조13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금액(153억달러)를 이미 넘어섰고, 10년 전과 비교하면 100배에 이른다. 보고서는 “이 같은 투자의 84%는 중국 민간기업에서 이뤄졌지만 이들 기업은 정부와 민간 소유의 경계선이 희미하다”고 지적했다.
위원회 보고서를 미국 의회나 백악관이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하는 트럼프 당선자의 집권을 앞두고 제시된 보고서여서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 논란이 일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CESRC)는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중국이 미국 기업을 대거 인수하면 국가안보가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중국 국유기업이 미국 회사를 인수, 통제하게 되면 기술·정보·시장지배력을 갖게 돼 미국의 안보를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조사기관인 로디엄 그룹에 따르면 중국 기업의 미국 기업 인수 및 직접 투자금액을 합하면 180억달러(약 21조13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금액(153억달러)를 이미 넘어섰고, 10년 전과 비교하면 100배에 이른다. 보고서는 “이 같은 투자의 84%는 중국 민간기업에서 이뤄졌지만 이들 기업은 정부와 민간 소유의 경계선이 희미하다”고 지적했다.
위원회 보고서를 미국 의회나 백악관이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하는 트럼프 당선자의 집권을 앞두고 제시된 보고서여서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 논란이 일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