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611/AA.12911052.1.jp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가 주관하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2015’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49개국 초등학교 4학년생 31만여명(한국 149개교 4669명)과 39개국 중학교 2학년생 약 27만명(한국 150개교 53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TIMSS는 4년 주기로 국가별 성취도를 평가한다.
올해 조사에서 한국 초등학교 4학년의 수학 성취도는 세계 3위, 과학 성취도는 2위로 나타났다. 2011년 대비 각각 한 계단씩 하락했지만 여전히 최상위권이다. 중학교 2학년은 수학 성취도 2위, 과학 성취도는 4위였다. 마찬가지로 순위가 하나씩 내려갔다. 평가원 관계자는 “한국 학생들의 점수가 2011년보다 모두 올랐지만 홍콩과 싱가포르 등의 상승폭이 커 순위가 떨어졌다”며 “조사 때마다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평균적으로 1~3위 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초등학생의 학력 수준은 다소 높아졌지만 중학생은 약간 낮아졌다. 탁월, 우수, 보통, 기초 등 네 가지 성취 기준 가운데 가장 높은 ‘탁월 수준’의 초등 4학년 학생 비율은 수학이 41%로 2011(39%)보다 늘어났다. 과학은 29%로 동일했다. 이에 비해 중2 학생의 ‘탁월 수준’ 비율은 수학이 43%로 2011년 대비 4%포인트 하락하고, 과학도 19%로 1%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입시 준비 부담이 커지면서 수학, 과학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전반적으로 높은 학업 성취와 달리 수학 및 과학 공부에 흥미를 갖거나 자신있다고 답한 학생 비율은 세계 최하위권이었다. 중2 학생 중 수학에 ‘아주 자신있다’고 답한 비율은 8%에 불과하고, 과학은 7%에 그쳤다. ‘자신없다’고 대답한 비율은 수학 55%, 과학은 70%에 달했다.
흥미도도 마찬가지다. ‘수학이 재미있다’고 답한 학생은 8%, 과학은 10%였다. 수학에 흥미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39개국 중 38위이고, 과학은 꼴찌였다. 평가원 관계자는 “융합교육 등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 학생들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