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w&Biz] 틈새 파고드는 충정…'신탁 재건축 아파트' 공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탁사 정비사업팀 꾸려

법무법인 충정의 건설·부동산팀장인 이상균 변호사는 “그동안 정비사업 분야에서 쌓아온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신탁사와 손잡고 자문·송무·회계 등 재개발·재건축 사업 모든 과정에서 법률 파트너로 참여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충정은 기존에 있던 건설·부동산팀 밑으로 신탁사 전담 정비사업팀을 꾸려 사업지 공략에 나섰다. 이 변호사는 “대형 건설사의 재건축·재개발 사업 베테랑인 전문위원을 영입해 실무 경험을 가진 인력까지 충원했다”며 “도시정비사업 추진 과정에서 조합원, 토지소유주, 금융회사, 행정당국, 시공사, 수분양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에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신탁사를 사업 시행자로 선정하는 정비사업지가 늘어나는 만큼 로펌에도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일반 재건축 사업과 달리 조합을 설립하지 않고 신탁사가 사업을 위탁받아 진행하면 사업기간을 최소 1년에서 3년 이상 단축할 수 있다”며 “신탁사에 수수료를 주고도 줄어든 기간만큼 금융비용을 비롯해 인건비, 조합 운영비 등이 몇 배로 절감되기 때문에 주민들도 점차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안전진단→정비구역 지정→추진위원회 설립→조합설립인가→사업시행인가→관리처분계획인가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신탁사가 사업을 맡으면 추진위원회나 조합 설립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변호사는 “신탁사가 주체가 되면 그동안 업계에서 명확한 기준 없이 부르는 게 값이던 용역 시행업체 수수료 등이 깔끔하게 해결된다”고 말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