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충진 변호사의 실전! 경매 (30)] 경매로 집 3채 낙찰…10개월 만에 총자산 1억에 월세수입 57만원 창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000만원으로 3억 만들기
(4) 중간 결산
(4) 중간 결산
대한민국 평범한 직장인 누구라도 마음속에 뜨거운 열정만 품고 있다면 행복한 부자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시작된 ‘3억 프로젝트’는 이런저런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지만 예상했던 항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순항했다. 이해를 돕기 위해 3억 프로젝트 1호, 2호 물건의 자금흐름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자(계산 편의를 위해 만 단위 이하 절사).
1호 물건의 투자 성적표(표1)를 정리해보면 2호 물건에 투자할 재원이 800만원이 늘어 종잣돈이 3800만원이 됐고, 투자금 규모가 커지다 보니 좀 더 경쟁력 있는 물건에 응찰할 수 있게 됐으며 순자산 규모는 6800만원으로 증가했다.
2호 물건의 투자 결과(표2)를 정리해보면 1호 물건 때보다 순자산이 약 2990만원 늘어 자산총액이 9790만원이 됐다. 부수적인 수입으로 월 22만원의 현금흐름까지 발생했다.
1호 물건 때처럼 월세를 놓지 않고 취득가 이상 전세를 들였다면 순자산 증가액이 1억원을 훌쩍 넘을 수도 있었지만, 고정적인 현금흐름 창출이 향후 투자에 여유를 줄 수 있다는 생각에 과감히 월세로 돌렸다.
1·2호 물건의 자금흐름을 결산해 보면 2개의 물건을 낙찰 받는 것으로 애초 목표치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순자산을 일궜고 매달 22만원의 보너스 수입까지 올리는 성과를 이뤘다. 게다가 애초 3억 프로젝트는 법무법인 열린과 다음카페 ‘행복한 부자를 꿈꾸는 사람들’이 공동 기획하긴 했지만 법무법인 열린은 어려움 발생 시 도움을 주는 후견적인 역할에 그쳤을 뿐이다. 이 모든 과정은 평생 낙찰 한 번 받아 본 적 없던 주인공이 대부분 직접 진행해 이룬 결과라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낙찰받고 적당히 손본 뒤 곧바로 임대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경매계의 실상이지만 3억 프로젝트의 주인공은 더 나은 조건으로 임대하기 위해 수리를 많이 하다 보니 비용을 좀 더 지출하기도 했다. 원만한 명도를 위해 이사비 또한 평균치를 넘어서 지급하기도 했다.
주인공이 좀 더 계산적으로 움직였다면 비용 절감과 함께 수익률 그래프는 좀 더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겠지만, 행복한 부자가 되기 위한 초석을 다지기 위해 기획된 3억 프로젝트의 취지에 충실하게 목표했던 금액의 달성보다는 충만한 성취감 또한 다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가외의 비용은 결코 아깝지 않은 지출이었다.
2호 물건을 정리한 뒤 한층 여유로운 마음으로 물건을 검색하다가 3호 물건을 낙찰 받았다. 3호 물건까지의 자금 흐름(요소3)을 정리하면, 총자산이 1억원을 넘겼고 보너스로 매달 57만원의 월세수입까지 생겼다.
애초 준비한 종잣돈에서 위 세 개 물건에 투하된 자금은 340만원에 불과했고 수중에는 아직 2660만원의 투자금이 남아 있었다. 3억 프로젝트를 출범한 지 10개월여 만의 일이다.
정충진 < 변호사 >
1호 물건의 투자 성적표(표1)를 정리해보면 2호 물건에 투자할 재원이 800만원이 늘어 종잣돈이 3800만원이 됐고, 투자금 규모가 커지다 보니 좀 더 경쟁력 있는 물건에 응찰할 수 있게 됐으며 순자산 규모는 6800만원으로 증가했다.
2호 물건의 투자 결과(표2)를 정리해보면 1호 물건 때보다 순자산이 약 2990만원 늘어 자산총액이 9790만원이 됐다. 부수적인 수입으로 월 22만원의 현금흐름까지 발생했다.
1호 물건 때처럼 월세를 놓지 않고 취득가 이상 전세를 들였다면 순자산 증가액이 1억원을 훌쩍 넘을 수도 있었지만, 고정적인 현금흐름 창출이 향후 투자에 여유를 줄 수 있다는 생각에 과감히 월세로 돌렸다.
1·2호 물건의 자금흐름을 결산해 보면 2개의 물건을 낙찰 받는 것으로 애초 목표치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순자산을 일궜고 매달 22만원의 보너스 수입까지 올리는 성과를 이뤘다. 게다가 애초 3억 프로젝트는 법무법인 열린과 다음카페 ‘행복한 부자를 꿈꾸는 사람들’이 공동 기획하긴 했지만 법무법인 열린은 어려움 발생 시 도움을 주는 후견적인 역할에 그쳤을 뿐이다. 이 모든 과정은 평생 낙찰 한 번 받아 본 적 없던 주인공이 대부분 직접 진행해 이룬 결과라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과가 아닐 수 없다.
낙찰받고 적당히 손본 뒤 곧바로 임대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경매계의 실상이지만 3억 프로젝트의 주인공은 더 나은 조건으로 임대하기 위해 수리를 많이 하다 보니 비용을 좀 더 지출하기도 했다. 원만한 명도를 위해 이사비 또한 평균치를 넘어서 지급하기도 했다.
주인공이 좀 더 계산적으로 움직였다면 비용 절감과 함께 수익률 그래프는 좀 더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겠지만, 행복한 부자가 되기 위한 초석을 다지기 위해 기획된 3억 프로젝트의 취지에 충실하게 목표했던 금액의 달성보다는 충만한 성취감 또한 다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가외의 비용은 결코 아깝지 않은 지출이었다.
2호 물건을 정리한 뒤 한층 여유로운 마음으로 물건을 검색하다가 3호 물건을 낙찰 받았다. 3호 물건까지의 자금 흐름(요소3)을 정리하면, 총자산이 1억원을 넘겼고 보너스로 매달 57만원의 월세수입까지 생겼다.
애초 준비한 종잣돈에서 위 세 개 물건에 투하된 자금은 340만원에 불과했고 수중에는 아직 2660만원의 투자금이 남아 있었다. 3억 프로젝트를 출범한 지 10개월여 만의 일이다.
정충진 < 변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