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 청문회 이후] "전경련, 사무국 축소 후 한경연과 통합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체 위기 몰린 전경련
긴급 임원회의 열고 쇄신방안 마련 착수
긴급 임원회의 열고 쇄신방안 마련 착수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이다.”(A그룹 임원)
“이(기업)도 임플란트(변신)를 해야 할 판인데, 상한 입술이 더 필요하겠느냐.”(B그룹 임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이 지난 6일 기업인 청문회에서 잇따라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 의사를 밝히면서 후폭풍이 일고 있다. 재계 한쪽에선 전경련이 해체 수순을 밟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나온다. 삼성을 포함한 주요 그룹이 발을 빼면 전경련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해져서다.
전경련의 작년 예산은 임직원 급여 등으로 쓴 218억원(일반회계)과 외부 단체 지원금 등 274억원(사회협력회계)을 합쳐 총 492억원에 달했다. 전경련 회관 임대료를 받아 건축 비용을 갚는 데 쓰는 특별회계(312억원)는 제외한 금액이다. 500억원에 육박하는 전경련 예산 대부분은 600여개 회원사가 내는 회비로 충당한다. 절반이상은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그룹이 부담한다. 이들 그룹이 빠지면 전경련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대기업들 사이에선 전경련이 어떤 식으로든 변신해 명맥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꽤 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전경련은 7일 긴급 임원회의를 열고 쇄신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내부적으로 △인사 △조직 △사업 등 세 부문의 쇄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관계자는 “허창수 회장이 일단 회원사들의 의견을 듣기로 한 만큼 곧바로 재계 의견 수렴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 안팎에서는 사무국 조직을 축소하고 연구·조사 기능을 키워 재계의 싱크탱크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대 그룹의 한 임원은 “전경련의 연구·조사 기능을 한국경제연구원과 통합하는 방안이 유력하지 않겠느냐”며 “전경련 간판을 내리고 최소화한 사무국을 재계 친목단체로 남기는 동시에 나머지는 한경연과 통합해 연구기관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경련 쇄신 과정이 험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열쇠를 쥔 회장단이 전경련에 발길을 끊고 회의 날짜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서다. 내년 2월께 차기 회장 선출을 앞두고 있어 당장 인적·조직 쇄신을 단행하기 어려운 점도 딜레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이(기업)도 임플란트(변신)를 해야 할 판인데, 상한 입술이 더 필요하겠느냐.”(B그룹 임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이 지난 6일 기업인 청문회에서 잇따라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 의사를 밝히면서 후폭풍이 일고 있다. 재계 한쪽에선 전경련이 해체 수순을 밟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나온다. 삼성을 포함한 주요 그룹이 발을 빼면 전경련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해져서다.
전경련의 작년 예산은 임직원 급여 등으로 쓴 218억원(일반회계)과 외부 단체 지원금 등 274억원(사회협력회계)을 합쳐 총 492억원에 달했다. 전경련 회관 임대료를 받아 건축 비용을 갚는 데 쓰는 특별회계(312억원)는 제외한 금액이다. 500억원에 육박하는 전경련 예산 대부분은 600여개 회원사가 내는 회비로 충당한다. 절반이상은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그룹이 부담한다. 이들 그룹이 빠지면 전경련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대기업들 사이에선 전경련이 어떤 식으로든 변신해 명맥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꽤 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전경련은 7일 긴급 임원회의를 열고 쇄신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내부적으로 △인사 △조직 △사업 등 세 부문의 쇄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관계자는 “허창수 회장이 일단 회원사들의 의견을 듣기로 한 만큼 곧바로 재계 의견 수렴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 안팎에서는 사무국 조직을 축소하고 연구·조사 기능을 키워 재계의 싱크탱크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대 그룹의 한 임원은 “전경련의 연구·조사 기능을 한국경제연구원과 통합하는 방안이 유력하지 않겠느냐”며 “전경련 간판을 내리고 최소화한 사무국을 재계 친목단체로 남기는 동시에 나머지는 한경연과 통합해 연구기관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경련 쇄신 과정이 험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열쇠를 쥔 회장단이 전경련에 발길을 끊고 회의 날짜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서다. 내년 2월께 차기 회장 선출을 앞두고 있어 당장 인적·조직 쇄신을 단행하기 어려운 점도 딜레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