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종합병원급 이상 비급여 진료비 발생유형별 구성과 현황’ 연구결과 2009년 6조2000억원이었던 비급여 진료비가 2014년 11조20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8일 발표했다. 같은 기간 전체 진료비에서 비급여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13.7%에서 17.1%로 늘었다.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비는 비용을 모두 환자가 부담하기 때문에 의료비 지출을 늘리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정부는 환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건강보험료를 투입해 보장항목을 확대하고 있지만 비급여 진료가 함께 늘면서 건강보험 보장률은 63%대에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보장률 평균이 78%, 유럽연합(EU) 주요국 평균이 82.5%인 것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시민단체 등에서는 증가하는 비급여 진료비를 관리할 수 있는 대책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비급여 진료비는 정부의 통제 범위 밖에 있어 현황을 파악하는 것조차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번 연구결과는 비급여 진료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현황을 파악했기 때문에 비급여 진료비를 관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건강보험공단 측은 설명했다.
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종합병원보다 큰 의료기관은 건강보험 항목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의학적 비급여가 많았다”며 “앞으로 보장성을 높여 비급여 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