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김영란법까지…부산·대구 '김빠진' 연말 특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발효에 이어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연말 부산과 대구, 울산, 경남 등 영남 지역의 호텔과 식당가가 꽁꽁 얼어붙고 있다. 조선·해운산업 불황, 대구 서문시장 화재까지 겹쳐 지역 상인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연말 송년회 특수가 사라지면서 호텔 식음료 부문 매출이 20% 이상 감소하고, 공무원과 대학교수 등이 참가하는 연회나 컨벤션 행사도 잇따라 취소되고 있다.
부산 해운대의 특급호텔 관계자는 “지난달 연회장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 줄어든 데 이어 이달에도 20% 감소했다”고 말했다.
롯데호텔울산 관계자는 “연말에는 연회장을 놀리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올해는 매출이 20% 이상 줄었다”며 “대학과 공공기관, 기업 등의 행사가 감소한 데다 200~300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행사도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근처에서 고급 횟집을 하는 김모 사장은 “하루에 20여팀 오던 손님들이 이달 들어 2~4팀으로 줄었다”며 울상을 지었다.
조선·해운산업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경남과 울산 사정도 비슷하다. 울산의 한 호텔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연말 예약이 30~40% 줄었다”며 “기업들의 연말 송년 모임 감소가 결정적”이라고 설명했다.
관공서와 공기업 직원들이 많이 찾는 울산 신정동의 한 한정식 전문점 사장은 “이달 들어 식당 예약률이 지난해보다 50% 이상 떨어졌다”며 “줄었다는 정도가 아니라 손님이 없다”고 전했다. 마산어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매출이 20~30% 감소했다”며 “기업들 사정이 좋지 않은 것 같고 김영란법 영향 때문인 것도 같다”고 말했다.
요식업소가 몰려 있는 대구 수성구 상인들도 아우성이다. 한 레스토랑 대표는 “업소 매출이 50% 이상 감소하면서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는 탄식이 터져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노래방, 대리운전업계도 덩달아 찬바람을 맞고 있다. 해운대의 한 노래방 사장은 “2차로 노래방을 많이 왔는데 올해는 70~80% 줄었다”며 “월세도 못 내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고 걱정했다.
김태현/하인식 기자 hyun@hankyung.com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연말 송년회 특수가 사라지면서 호텔 식음료 부문 매출이 20% 이상 감소하고, 공무원과 대학교수 등이 참가하는 연회나 컨벤션 행사도 잇따라 취소되고 있다.
부산 해운대의 특급호텔 관계자는 “지난달 연회장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 줄어든 데 이어 이달에도 20% 감소했다”고 말했다.
롯데호텔울산 관계자는 “연말에는 연회장을 놀리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올해는 매출이 20% 이상 줄었다”며 “대학과 공공기관, 기업 등의 행사가 감소한 데다 200~300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행사도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근처에서 고급 횟집을 하는 김모 사장은 “하루에 20여팀 오던 손님들이 이달 들어 2~4팀으로 줄었다”며 울상을 지었다.
조선·해운산업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경남과 울산 사정도 비슷하다. 울산의 한 호텔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연말 예약이 30~40% 줄었다”며 “기업들의 연말 송년 모임 감소가 결정적”이라고 설명했다.
관공서와 공기업 직원들이 많이 찾는 울산 신정동의 한 한정식 전문점 사장은 “이달 들어 식당 예약률이 지난해보다 50% 이상 떨어졌다”며 “줄었다는 정도가 아니라 손님이 없다”고 전했다. 마산어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매출이 20~30% 감소했다”며 “기업들 사정이 좋지 않은 것 같고 김영란법 영향 때문인 것도 같다”고 말했다.
요식업소가 몰려 있는 대구 수성구 상인들도 아우성이다. 한 레스토랑 대표는 “업소 매출이 50% 이상 감소하면서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는 탄식이 터져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노래방, 대리운전업계도 덩달아 찬바람을 맞고 있다. 해운대의 한 노래방 사장은 “2차로 노래방을 많이 왔는데 올해는 70~80% 줄었다”며 “월세도 못 내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고 걱정했다.
김태현/하인식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