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In] 박지원 “경제부총리 빨리 세워야… 황교안, 일단 인정할 수밖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기위해 자리에 앉고 있다. 2016.12.11
uwg806@yna.co.kr/2016-12-11 13:45:36/
<저작권자 ⓒ 1980-2016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1일 “가장 큰 문제인 경제, 민생, 안보에 대해 우선적으로 합의가 돼야 한다”며 “특히 경제부총리가 합의돼야 하고, 선임이 빠른 게 좋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당은 탄핵 전에도 부총리만은 경제 민생을 위해서 청문회를 하자 했지만 야 3당 대표회담에서 합의가 되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존 임종룡 후보자를 그대로 임명할지에 대해서는 “지금 특정인을 거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황교안 국무총리에 대해 “우리 당이 주장했던 ‘선(先) 총리 교체, 후(後) 탄핵’이 됐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천추의 한이 있지만 정치는 현실을 인정하고 갈 수밖에 없다”며 “광장의 촛불민심은 대통령과 총리의 즉각 퇴진이지만, 국정위기 수습을 위해 헌법질서를 지키면서 법치를 강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질서는 지금 황 권한대행을 지키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임시국회에서 황 총리 등 각 부처 장관을 불러 대정부질문을 내실있게 함으로써 국민을 안심시키는 계기도 만들고, 정부의 로드맵도 제시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부총리 인선 문제의 조속한 매듭을 촉구하며 4·19 혁명 직후 외무부 장관이었던 허정 수반이 이끄는 과도내각 사례를 언급했다.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일단 인정→경제부총리 선임 및 여야정 협의체 가동→총리 교체 후 경제부총리가 권한대행 승계’로 이어지는 단계적 로드맵을 ‘질서있는 수습책’으로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헌법 제71조에 따르면 대통령 궐위시 국무총리와 법률에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권한을 대행하게 돼 있으며, 정부조직법에는 경제부총리가 관할하는 기획재정부가 제일 앞 순서에 배치돼 있다.
박 원내대표는 “혼란과 불안을 제거하고 국회가 광장민심으로부터 바통터치를 받아 민심에 맞는 수습안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는 데 앞장서겠다”며 “국정 위기를 극복하는 미래지향적 대안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제 우리도 직접 민주주의의 통로를 만들 때가 됐다”면서 “국민소환제나 국민발안제(국민이 직접 헌법개정안이나 법률안을 제출하는 제도) 등을 제도적으로 이뤄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uwg806@yna.co.kr/2016-12-11 13:45:36/
<저작권자 ⓒ 1980-2016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1일 “가장 큰 문제인 경제, 민생, 안보에 대해 우선적으로 합의가 돼야 한다”며 “특히 경제부총리가 합의돼야 하고, 선임이 빠른 게 좋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당은 탄핵 전에도 부총리만은 경제 민생을 위해서 청문회를 하자 했지만 야 3당 대표회담에서 합의가 되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존 임종룡 후보자를 그대로 임명할지에 대해서는 “지금 특정인을 거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황교안 국무총리에 대해 “우리 당이 주장했던 ‘선(先) 총리 교체, 후(後) 탄핵’이 됐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천추의 한이 있지만 정치는 현실을 인정하고 갈 수밖에 없다”며 “광장의 촛불민심은 대통령과 총리의 즉각 퇴진이지만, 국정위기 수습을 위해 헌법질서를 지키면서 법치를 강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질서는 지금 황 권한대행을 지키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임시국회에서 황 총리 등 각 부처 장관을 불러 대정부질문을 내실있게 함으로써 국민을 안심시키는 계기도 만들고, 정부의 로드맵도 제시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경제부총리 인선 문제의 조속한 매듭을 촉구하며 4·19 혁명 직후 외무부 장관이었던 허정 수반이 이끄는 과도내각 사례를 언급했다.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일단 인정→경제부총리 선임 및 여야정 협의체 가동→총리 교체 후 경제부총리가 권한대행 승계’로 이어지는 단계적 로드맵을 ‘질서있는 수습책’으로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헌법 제71조에 따르면 대통령 궐위시 국무총리와 법률에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권한을 대행하게 돼 있으며, 정부조직법에는 경제부총리가 관할하는 기획재정부가 제일 앞 순서에 배치돼 있다.
박 원내대표는 “혼란과 불안을 제거하고 국회가 광장민심으로부터 바통터치를 받아 민심에 맞는 수습안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는 데 앞장서겠다”며 “국정 위기를 극복하는 미래지향적 대안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제 우리도 직접 민주주의의 통로를 만들 때가 됐다”면서 “국민소환제나 국민발안제(국민이 직접 헌법개정안이나 법률안을 제출하는 제도) 등을 제도적으로 이뤄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