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 원내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만나고 있다. 왼쪽부터 박지원 국민의당, 정진석 새누리당,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여야 3당 원내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만나고 있다. 왼쪽부터 박지원 국민의당, 정진석 새누리당,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여야 3당이 박근혜 대통령 권한 정지에 따른 국정 공백을 막기 위한 여·야·정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개헌 논의를 위한 국회 개헌특별위원회도 설치키로 했다.

정진석 새누리당·우상호 더불어민주당·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만나 이같이 합의했다. 민경욱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회동 후 브리핑에서 “민생 살리기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는 정신으로 여·야·정 협의체 운영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여·야·정 협의체 형식과 참석 대상은 추후 논의키로 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내에서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계 갈등이 극에 달해 있고, 야당은 친박 지도부와는 대화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협의체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기동민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여·야·정 협의체 참석 대상은 다음 회동에서 결정키로 했다”며 “실무협의는 3당 정책위원회 의장과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여·야·정 협의체의 정부 대표를 놓고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유 부총리를 언급한 반면 박 원내대표는 황교안 총리(권한대행)를 거론하는 등 이견을 보였다.

임시국회 일정에도 합의했다. 회기는 12일부터 오는 31일까지로 하고 29일 본회의를 연다. 본회의에선 개헌특위 구성안을 통과시키기로 했다. 개헌특위 위원장은 새누리당이 맡는다.

오는 20일 경제분야, 21일 비경제분야 대정부질문을 한다. 황 대행이 두 차례 대정부질문에 모두 참석하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황 대행을 대정부질문에 출석시키지 말고 3당 원내대표와 별도 회동을 하자고 제안했지만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황 대행이 국정을 어떻게 운영해 나갈지 국민에게 직접 설명해야 한다고 맞섰다.

여야는 최순실 사태로 정기국회에서 충분히 논의하지 못한 법안을 임시국회에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야3당이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한 만큼 야당이 추진하는 법안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다중대표소송제도 도입 등 재벌 총수 견제를 강화하는 상법개정안, 공정거래위원회 전속고발권을 폐지하는 공정거래법개정안, 전·월세 상한제를 도입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안 등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