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구원투수로 급부상한 유승민 의원이 실제로 마운드에 오를지가 초미 관심사다.

'그의 등판 여부는 경기의 승패(당의 개혁)뿐 아니라 자신의 몸값(대권 가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유 의원은 당 개혁을 위해 전권을 가진 비상대책위원장이라면 '독배'일지라도 들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그게 아니라면 비대위원장을 맡지 않겠다는 뜻이다.

공을 넘긴 유 의원은 일단 기다리는 입장이다. 상황 전개에 따라 그의 대응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전권 비대위원장이 관철되면 명실상부한 개혁이 뒤따를 전망이다. 핵심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에 대한 인적 청산도 예고된 수순이다.

유 의원 개인의 정치행보 역시 절정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원내대표 축출 이후 총선 공천 탈락과 탈당, 무소속 당선 이후 복당으로 한 편의 드라마를 써온 그로서는 값진 정치적 모멘텀을 거머쥘 수 있다.

평의원에 머무르던 그가 당의 간판으로 위상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개혁 성향에 더해 전통적 보수층의 결집과 이를 토대로 한 대권도전이 한층 추동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유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는 데 대한 친박계의 거부감이 매우 강한 게 걸림돌이다. 친박계 입장에선 '내 목을 스스로 치는 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비대위원장 추천권을 가진 정우택 신임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당의 갈등과 분열을 더 일으킬 소지가 다분히 있는 사람은 안 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친박계의 저항을 제압하지 못해 당 개혁이 지지부진해지거나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 비대위원장직이 오히려 그의 발목을 잡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비대위원 및 당직자 인선, 박 대통령 징계를 다룰 윤리위원회 재구성, 대선후보 경선룰 확정 등에서 여전히 당내 과반을 차지한 친박계와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유 의원에게는 '전부'가 아닐 바에야 '전무'가 낫다는 얘기가 나온다. 전권을 쥔 비대위원장이 안 된다면 엉거주춤 당에 남느니 탈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