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관련 언급을 자제해온 이명박 전 대통령이 탄핵정국에 대해 입을 열었다. 친이계 정치인 수십명이 모인 자리에서 “본인이 뭐라고 얘기하든 국민은 다 알고 있으니까, 국민 뜻을 따르면 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일침을 가하는 모양새다. 전직 국가수반의 발언이라 하기에는 무언가 부적절하다. 국민을 위로하고 품어안는 것이라기보다는 대중에 영합하는 발언으로 비칠 수밖에 없어서다.

박 대통령은 법정에서 사실관계를 다퉈보겠다는 의지를 이미 수차례 밝혔다. 엊그제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에서는 13개의 탄핵소추사유에 조목조목 반박했다. 범죄의 구성과 경중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 법조계 중론이다. 그렇다면 ‘국민이 다 알고 있다’는 말의 의미가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다. 혹 광장에 모인 시위군중의 함성만으로 사실관계 입증이 끝났다는 말인지 의아스럽다. ‘국민 뜻을 따르면 된다’는 것도 전직 대통령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발상이다. 더구나 이 전 대통령은 허구의 광우병 시위로 정권 초반에 호된 신고식을 치러야 했다. 그 허구의 광기에 전혀 책임을 묻지 않았던 것이 이번 사태의 긴 원인일 수도 있다. 이 전 대통령으로서는 법치질서를 강조하고 흥분한 정치권도 냉정해질 것을 호소하는 것이 맞지 않겠는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국내 정치 언급도 실망스럽긴 마찬가지다. 반 총장은 뉴욕 현지 간담회에서 ‘최순실 국정농단은 6·25전쟁을 제외한 최대의 정치혼란’이라는, 앞뒤가 맞지도 않는 분석부터 내놨다. 6·25전쟁에 비기는 것부터가 놀라운 발상이며 어법이다. ‘국민이 포용적 리더십을 간절하게 원한다’는 민심영합성 정치평론은 대망을 꿈꾼다는 국가지도자의 언어라고 하기에는 걸맞지 않다. 포용을 말하기 전에 국가경영의 원칙부터 말하는 것이 순서다. 거취에 대한 여전히 모호한 답변도 이제는 좋게 들리지 않는다.

국가원로와 지도자들의 진중한 목소리를 듣고 싶다. 대중영합적 발언으로 지도자를 자처할 수는 없지 않나. 국민은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얕은 계산은 부메랑으로 돌아올 뿐이다.